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姼降烏孫, 泣對㫋裘之俗,

주 001
각주 001)
원문 「𡚼」. 길림본 「姼」로 교감. 문맥상 「姼」로 교감.
닫기
降烏孫, 泣對㫋裘之俗,
漢書曰: “烏孫國, 大昆彌주 002
각주 002)
원문 「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彌」로 교감. 국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彌」로 교감.
닫기
[治]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治」보입. 문맥상 「治」 보입.
닫기
赤谷城, 去長安八千九百里. [東]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東」 보입. 사방으로 접한 국가를 설명하는 부분이며, 東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으므로 「東」 보입.
닫기
與匈奴, 西北與康居, 西與大宛주 005
각주 005)
원문 「苑」. 길림본 「宛」으로 교감. 대완국이라는 국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宛」으로 교감.
닫기
, 南與城郭諸國相接. 本塞地也. 武帝令張騫齎金幣往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致」 보입.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賜. 元封中, 以江주 007
각주 007)
원문 「沖」. 탕천본·길림본 「江」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하여 「江」으로 교감.
닫기
都王建女細君주 008
각주 008)
원문 「居」.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君」으로 교감. 화번공주 중 한 명인 세군의 내용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君」으로 교감.
닫기
爲公主以妻焉주 009
각주 009)
원문 「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焉」으로 교감. 문맥상 「焉」으로 교감.
닫기
, 賜乘輿주 010
각주 010)
원문 「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輿」로 교감. 문맥상 「輿」로 교감.
닫기
服御物. 昆莫年老, 語言不通, 公主悲愁, 自爲作歌曰: ‘吾家嫁我, 兮주 011
각주 011)
원문 「子」. 탕천본·길림본 「兮」로 교감. 시의 어구를 맞추기 위해 「兮」를 사용하므로 「兮」로 교감.
닫기
天一方주 012
각주 012)
원문 「万」. 탕천본·길림본 「方」으로 교감, 문맥상 「方」으로 교감.
닫기
, 遠託주 013
각주 013)
원문 「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託」으로 교감. 문맥상 「託」으로 교감.
닫기
異國, 兮주 014
각주 014)
원문 「子」. 죽내본 「于」, 탕천본·길림본 「兮」로 교감. 시의 어구를 맞추기 위해 「兮」를 사용하므로 「兮」로 교감. 이하 [子]는 「兮」로 교감.
닫기
烏孫王. 穹盧爲室, 兮旃爲牆주 015
각주 015)
원문 「檣」. 탕천본·길림본 「牆」으로 교감, 문맥상 「牆」으로 교감.
닫기
, 以肉爲食, 兮酪爲漿. 居常土思, 兮心內傷, 願爲黃鵠, 兮歸故鄕.’”

  • 각주 001)
    원문 「𡚼」. 길림본 「姼」로 교감. 문맥상 「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彌」로 교감. 국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彌」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治」보입. 문맥상 「治」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東」 보입. 사방으로 접한 국가를 설명하는 부분이며, 東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으므로 「東」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苑」. 길림본 「宛」으로 교감. 대완국이라는 국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宛」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致」 보입.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沖」. 탕천본·길림본 「江」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하여 「江」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居」.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君」으로 교감. 화번공주 중 한 명인 세군의 내용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君」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焉」으로 교감. 문맥상 「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輿」로 교감. 문맥상 「輿」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子」. 탕천본·길림본 「兮」로 교감. 시의 어구를 맞추기 위해 「兮」를 사용하므로 「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万」. 탕천본·길림본 「方」으로 교감, 문맥상 「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託」으로 교감. 문맥상 「託」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子」. 죽내본 「于」, 탕천본·길림본 「兮」로 교감. 시의 어구를 맞추기 위해 「兮」를 사용하므로 「兮」로 교감. 이하 [子]는 「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檣」. 탕천본·길림본 「牆」으로 교감, 문맥상 「牆」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姼降烏孫, 泣對㫋裘之俗, 자료번호 : hw.m_0002_0130_00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