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眩人入獻表, 安息遐通.

[西域]주 001
각주 001)
『한서』 및 『후한서』의 「서역전」에서는 「婼羌國」·「拘彌國」으로 시작하며, 『한원』은 「서역전」에 전하는 국가 중 안식국이 가장 먼저 등장한다. 목차에서 표기된 ‘西域’의 내용이 없다는 점을 미루어 보면 현재 전하는 『翰苑』 「西域」의 앞부분 중 일부가 후대 필사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닫기
 
眩人入獻表, 安息遐通.
漢書曰: “安息國, 王[治]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治」 보입. 문맥상 「治」 보입.
닫기
番兜城, 去長安一萬一千六百里. 北與康居, 東與烏주 003
각주 003)
원문 「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烏」로 교감. 지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烏」로 교감.
닫기
주 004
각주 004)
원문 「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弋」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弋」으로 교감.
닫기
山離, 西與條支接주 005
각주 005)
원문 「椄」. 죽내본·길림본 「接」으로 교감. 문맥상 인접하다는 뜻의 「接」으로 교감.
닫기
. 武帝始遣使至安息, 王令將將二萬騎, 迎於東界. 東界去王都[數]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數」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서』를 참조하여 「數」보입.
닫기
千里, 行比至過數十城, 人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民」 보입하였으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한다. 이에 원문대로 둠.
닫기
相屬. 因發使隨漢使者, 來觀주 008
각주 008)
원문 「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觀」으로 교감. 문맥상 「觀」으로 교감.
닫기
漢地. 以大鳥卵주 009
각주 009)
원문 「▼{爪+⻏}」.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卵」으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卵」으로 교감.
닫기
及犁軒眩人, 獻於天子, 天子大說也.”

  • 각주 001)
    『한서』 및 『후한서』의 「서역전」에서는 「婼羌國」·「拘彌國」으로 시작하며, 『한원』은 「서역전」에 전하는 국가 중 안식국이 가장 먼저 등장한다. 목차에서 표기된 ‘西域’의 내용이 없다는 점을 미루어 보면 현재 전하는 『翰苑』 「西域」의 앞부분 중 일부가 후대 필사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治」 보입. 문맥상 「治」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烏」로 교감. 지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弋」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弋」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椄」. 죽내본·길림본 「接」으로 교감. 문맥상 인접하다는 뜻의 「接」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數」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서』를 참조하여 「數」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民」 보입하였으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한다. 이에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觀」으로 교감. 문맥상 「觀」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爪+⻏}」.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卵」으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卵」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眩人入獻表, 安息遐通. 자료번호 : hw.m_0002_013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