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陸子馳軒, 僭擬之名斯替.

陸子馳軒, 僭擬之名斯替.
漢書曰: “高后주 001
각주 001)
원문 「右」. 죽내본·길림본 「后」로 교감. 유방의 황후인 고황후를 가리키는 듯하다. 이에 『한서』를 참조하여 「后」로 교감.
닫기
時, 有司諸주 002
각주 002)
원문 「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請」으로 교감.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禁南越關市鐵器. 趙佗乃주 003
각주 003)
원문 「及」.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乃」로 교감. 문맥상 「乃」로 교감.
닫기
自尊주 004
각주 004)
원문 「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尊」으로 교감. 의미상 높힌다는 뜻의 「尊」으로 교감.
닫기
號爲南武帝, 發兵攻長沙. 東西萬餘里. 乃乘黃屋左주 005
각주 005)
원문 「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左」로 교감. 내용상 황제의 수레 장식인 좌독을 가리키는 듯하므로 「左」로 교감.
닫기
纛, 稱制, 與中[國]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國」 보입. 중국을 가리키는 듯하므로 『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國」보입.
닫기
侔. 文주 007
각주 007)
원문 「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文」으로 교감. 내용상 한 문제를 가리키는 듯하므로 「文」으로 교감.
닫기
주 008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元年」 보입하였으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함. 이에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鎭撫天下」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乃爲佗親冢在眞주 010
각주 010)
원문 「▼{十/目/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眞」으로 교감. 정문 1과 『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眞」으로 교감.
닫기
定, 置守邑, 召주 011
각주 011)
원문 「召」.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길림본 「名」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其從昆弟, 尊官厚賜寵之. 乃召주 012
각주 012)
원문 「名」.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召」로 교감. 문맥상 부른다는 의미의 「召」로 교감.
닫기
陸賈爲太中大夫, [往]주 013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往」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往」을 보입.
닫기
使賜, 佗乃주 014
각주 014)
원문 「乃」. 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연문으로 간주함.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書頓首謝, 願之也주 015
각주 015)
원문 「之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也」를 생략하고 「奉明詔」 보입. 탕천본·길림본은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교감한 듯하다. 교감하면 명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하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

  • 각주 001)
    원문 「右」. 죽내본·길림본 「后」로 교감. 유방의 황후인 고황후를 가리키는 듯하다. 이에 『한서』를 참조하여 「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請」으로 교감.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及」.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乃」로 교감. 문맥상 「乃」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尊」으로 교감. 의미상 높힌다는 뜻의 「尊」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左」로 교감. 내용상 황제의 수레 장식인 좌독을 가리키는 듯하므로 「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國」 보입. 중국을 가리키는 듯하므로 『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國」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文」으로 교감. 내용상 한 문제를 가리키는 듯하므로 「文」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元年」 보입하였으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함. 이에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鎭撫天下」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十/目/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眞」으로 교감. 정문 1과 『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召」.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길림본 「名」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名」.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召」로 교감. 문맥상 부른다는 의미의 「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往」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往」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乃」. 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연문으로 간주함.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之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也」를 생략하고 「奉明詔」 보입. 탕천본·길림본은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교감한 듯하다. 교감하면 명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하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陸子馳軒, 僭擬之名斯替. 자료번호 : hw.m_0002_013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