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東甌闢壤, 句踐疏其濬源.

東甌闢壤, 句踐疏其濬源.
漢書曰: “閩越王無諸及越東海王搖주 001
각주 001)
원문 「摇」. 죽내본·길림본 「搖」로 교감. 의미상 「搖」로 교감.
닫기
, 其先皆越王句踐之後也. 姓駱주 002
각주 002)
원문 「駱」.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騶」로 교감. 『集解』에 인용된 徐廣에 따르면, 騶는 ‘駱’으로도 되어 있다. 『索隱』도 徐廣설을 인용하여 ‘歐駱’을 말하며 姓이 騶씨는 아니라고 하였다. 陳直도 『史記新證』에서 騶氏는 齊나라의 大姓으로 閩越에 이 성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고 하며 와전된 듯하다고 추정하고 있다(동북아역사재단 편, 앞의 책, 335쪽). 이를 참조하여 원문대로 둠.
닫기
氏. 秦幷天下, 廢주 003
각주 003)
원문 「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廢」로 교감. 의미상 『한서』를 참조하여 「廢」로 교감.
닫기
爲君長, 以其地爲閩中郡. 及諸侯叛秦, 無諸及搖率越歸番陽令吳芮주 004
각주 004)
원문 「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芮」로 교감. 인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芮」로 교감.
닫기
, 從諸侯滅秦. 擊項籍, 無諸·搖주 005
각주 005)
원문 「桯」. 죽내본·탕천본 「搖」로, 길림본 「摇」로 교감. 정문과 주문의 앞부분을 참조하여 「搖」로 교감.
닫기
주 006
각주 006)
원문 「師」.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帥」로 교감. 문맥상 「帥」로 교감.
닫기
越人佐漢. 漢復立無諸爲閩越王, [王]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王」 보입. 문장 구조상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王」을 보입.
닫기
閩中故地, [立]주 008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立」 보입. 앞 구절의 문장 구조를 참조하여 「立」을 보입.
닫기
搖爲東海王, 都東甌也.”

  • 각주 001)
    원문 「摇」. 죽내본·길림본 「搖」로 교감. 의미상 「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駱」.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騶」로 교감. 『集解』에 인용된 徐廣에 따르면, 騶는 ‘駱’으로도 되어 있다. 『索隱』도 徐廣설을 인용하여 ‘歐駱’을 말하며 姓이 騶씨는 아니라고 하였다. 陳直도 『史記新證』에서 騶氏는 齊나라의 大姓으로 閩越에 이 성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고 하며 와전된 듯하다고 추정하고 있다(동북아역사재단 편, 앞의 책, 335쪽). 이를 참조하여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廢」로 교감. 의미상 『한서』를 참조하여 「廢」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芮」로 교감. 인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桯」. 죽내본·탕천본 「搖」로, 길림본 「摇」로 교감. 정문과 주문의 앞부분을 참조하여 「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師」.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帥」로 교감. 문맥상 「帥」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王」 보입. 문장 구조상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王」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立」 보입. 앞 구절의 문장 구조를 참조하여 「立」을 보입.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東甌闢壤, 句踐疏其濬源. 자료번호 : hw.m_0002_013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