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沐德興謠, 漸皇猷於倉水.

沐德興謠, 漸皇猷於倉水.
後漢書曰: “明帝永平十二年, 置哀窂·博南二縣, 割益州郡西部都尉所領六縣, 合爲永昌郡. 始通博南山, 度蘭倉水, 行者苦之. 歌曰: ‘漢德廣, 開不賓, 度博南, 越蘭津, 度蘭倉, [爲]他人주 001
각주 001)
원문 「他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爲他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爲他人」으로 교감.
닫기
.’ 哀窂人皆穿鼻儋耳, 其渠帥주 002
각주 002)
원문 「師」. 탕천본·길림본 「帥」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帥」로 교감.
닫기
自謂王者, 耳皆下肩주 003
각주 003)
원문 「不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下肩」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下肩」으로 교감.
닫기
三寸, 凡주 004
각주 004)
원문 「凡」. 길림본 「庶」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庶」로 되어 있다.
닫기
주 005
각주 005)
원문 「人」. 탕천본 「民」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民」으로 되어 있다. 원문의 「人」은 당 태종 李世民에 대한 피휘이다.
닫기
則至肩而已. 土地沃美, 宜五穀·蠶桑也.”

  • 각주 001)
    원문 「他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爲他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爲他人」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師」. 탕천본·길림본 「帥」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帥」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不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下肩」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下肩」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凡」. 길림본 「庶」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庶」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人」. 탕천본 「民」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民」으로 되어 있다. 원문의 「人」은 당 태종 李世民에 대한 피휘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沐德興謠, 漸皇猷於倉水.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