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懷仁動詠, 覃帝澤於夷都,

懷仁動詠, 覃帝澤於夷都,
後漢書曰: “益州刺史朱輔上疏, ‘稱莋都夷慕化[歸]義주 001
각주 001)
원문 「義」.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歸義」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歸義」로 교감.
닫기
, 作주 002
각주 002)
원문 「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作」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作」으로 교감.
닫기
詩三章. 一曰, 太漢是治, 與天合意, 吏譯주 003
각주 003)
원문 「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譯」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譯」으로 교감.
닫기
平端, 不從我來. 聞風向化, 所見[奇]異주 004
각주 004)
원문 「所見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所見奇異」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所見奇異」로 교감.
닫기
, 多賜繒布, 甘美酒食, 倡주 005
각주 005)
원문 「偈」. 죽내본·길림본 「倡」으로 교감, 탕천본 「昌」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倡」으로 교감. 「偈」와 「倡」의 자형이 비슷하므로 필사과정에서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昌」으로 되어 있다.
닫기
樂肉飛, 屈申悉備. 蠻夷貧薄, 無所報嗣주 006
각주 006)
원문 「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嗣」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嗣」로 교감.
닫기
, 願主長壽, 子孫昌熾. 二曰, 蠻夷所處, 日入之部. 慕義向化, 歸日出主. 聖德深恩주 007
각주 007)
원문 「恩深」. 탕천본·길림본 「深恩」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深恩」으로 교감.
닫기
, 與人富주 008
각주 008)
원문 「畜」. 탕천본·길림본 「富」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富」로 교감.
닫기
厚. 冬多[霜]雪주 009
각주 009)
원문 「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霜雪」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霜雪」로 교감.
닫기
, 夏多和雨, 寒溫時適, 部人多有. 涉危주 010
각주 010)
원문 「沙范」.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涉危」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涉危」로 교감.
닫기
歷險, 不遠萬里, 去俗歸德, 心歸慈母. 三曰, 荒服之外, 土주 011
각주 011)
원문 「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土」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土」로 교감.
닫기
地磽埆, 食肉衣皮, 不見鹽주 012
각주 012)
원문 「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鹽」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鹽」으로 교감.
닫기
穀. 吏譯傳風, 大漢安樂, 携負주 013
각주 013)
원문 「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負」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負」로 교감.
닫기
歸仁. 觸冒주 014
각주 014)
원문 「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冒」로 교감.
닫기
險陝주 015
각주 015)
원문 「津」. 탕천본·길림본 「陜」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陜」으로 교감.
닫기
, 高山岐주 016
각주 016)
원문 「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岐」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岐」로 교감.
닫기
峻, 緣崖磻石. 木薄發家, 百宿到洛. 父子同賜, 懷抱주 017
각주 017)
원문 「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抱」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抱」로 교감.
닫기
주 018
각주 018)
원문 「込」. 죽내본·길림본 「匹」로 판독, 탕천본 「匹」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匹」로 교감.
닫기
帛, 傳告주 019
각주 019)
원문 「吉」. 죽내본 「告」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告」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告」로 교감.
닫기
種人, 長願臣주 020
각주 020)
원문 「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臣」으로 교감.
닫기
僕.’”

  • 각주 001)
    원문 「義」.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歸義」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歸義」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作」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作」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譯」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譯」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所見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所見奇異」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所見奇異」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偈」. 죽내본·길림본 「倡」으로 교감, 탕천본 「昌」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倡」으로 교감. 「偈」와 「倡」의 자형이 비슷하므로 필사과정에서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昌」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嗣」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恩深」. 탕천본·길림본 「深恩」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深恩」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畜」. 탕천본·길림본 「富」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富」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霜雪」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霜雪」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沙范」.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涉危」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涉危」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土」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土」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鹽」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負」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負」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冒」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津」. 탕천본·길림본 「陜」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陜」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岐」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抱」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抱」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込」. 죽내본·길림본 「匹」로 판독, 탕천본 「匹」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匹」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吉」. 죽내본 「告」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告」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告」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臣」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懷仁動詠, 覃帝澤於夷都,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