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三侯並建, 旣配饗於牂柯,

三侯並建, 旣配饗於牂주 001
각주 001)
원문 「样」. 탕천본·길림본 「牂」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牂」으로 교감. 이하 「样」은 「牂」으로 동일하게 교감.
닫기
柯,
後漢書曰: “夜郞侯竹王, 夷獠주 002
각주 002)
원문 「撩」.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獠」로 교감. 종족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獠」로 교감.
닫기
주 003
각주 003)
원문 「或」. 탕천본·길림본 「咸」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咸」으로 되어 있다.
닫기
以竹王非血氣所生, 甚重之, 求爲立後. 牂柯太守吳霸주 004
각주 004)
원문 「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霸」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霸」로 교감.
닫기
以[聞]주 005
각주 005)
원문 「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以聞」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以聞」으로 교감.
닫기
, 天주 006
각주 006)
원문 「文」. 죽내본 「天」으로 교감, 탕천본 「天」으로 판독, 길림본은 원문의 「文」을 「聞」으로 교감하고 「天」을 보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天」으로 교감.
닫기
子乃封其三子爲侯. 死, 配食父. [今]夜郞縣주 007
각주 007)
원문 「夜郞縣」. 탕천본·길림본 「今夜郞縣」으로 교감.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後漢書』를 참고하여 「今夜郞縣」으로 교감.
닫기
有竹王三郞神也주 008
각주 008)
원문 「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是也」로 교감. 일반적으로 「是」는 「今」과 호응하여 하나의 문장을 구성하지만,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是也」로 되어 있다.
닫기
. 初, 楚頃주 009
각주 009)
원문 「湏」. 죽내본 「傾」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頃」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頃」으로 교감.
닫기
襄王時, 遣將莊주 010
각주 010)
원문 「在」. 죽내본 「庄」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莊」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莊」으로 교감.
닫기
豪從沅주 011
각주 011)
원문 「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沅」으로 교감. 강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沅」으로 교감.
닫기
水, 伐之夜郞. 軍至且蘭, 椓주 012
각주 012)
원문 「掾」. 탕천본·길림본 「椓」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椓」으로 교감.
닫기
船於岸而步戰. 旣滅주 013
각주 013)
원문 「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滅」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滅」로 교감.
닫기
夜郞, 以且蘭有椓船牂柯處주 014
각주 014)
원문에는 「處家」. 죽내본 「處處」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處」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處」로 교감. 자형이 비슷하므로 글자를 교정하고자 다시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닫기
, 乃改其名爲牂柯.”

  • 각주 001)
    원문 「样」. 탕천본·길림본 「牂」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牂」으로 교감. 이하 「样」은 「牂」으로 동일하게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撩」.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獠」로 교감. 종족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獠」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或」. 탕천본·길림본 「咸」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咸」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霸」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霸」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以聞」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以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文」. 죽내본 「天」으로 교감, 탕천본 「天」으로 판독, 길림본은 원문의 「文」을 「聞」으로 교감하고 「天」을 보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天」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夜郞縣」. 탕천본·길림본 「今夜郞縣」으로 교감.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後漢書』를 참고하여 「今夜郞縣」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是也」로 교감. 일반적으로 「是」는 「今」과 호응하여 하나의 문장을 구성하지만,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是也」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湏」. 죽내본 「傾」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頃」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頃」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在」. 죽내본 「庄」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莊」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莊」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沅」으로 교감. 강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沅」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掾」. 탕천본·길림본 「椓」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椓」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滅」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滅」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에는 「處家」. 죽내본 「處處」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處」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處」로 교감. 자형이 비슷하므로 글자를 교정하고자 다시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三侯並建, 旣配饗於牂柯,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