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夜郞啓搆, 爰契浮竹之靈,

夜郞啓搆, 爰契浮竹之靈,
後漢書曰: “西南夷者, 皆在蜀郡徼주 001
각주 001)
원문 「都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徼」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郡徼」으로 교감.
닫기
外. 有夜郞國, 東接交阯, 西滇주 002
각주 002)
원문 「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滇」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滇」으로 교감. 이하 「愼」은 「滇」으로 동일하게 교감.
닫기
國, 滇國北有邛주 003
각주 003)
원문 「功」. 죽내본 「卬」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邛」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邛」으로 교감.
닫기
都國, 各立君長. 其人皆椎주 004
각주 004)
원문 「推」. 죽내본 「堆」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椎」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椎」로 교감.
닫기
髻左衽주 005
각주 005)
원문 「枉」. 죽내본·탕천본 「袵」으로 교감, 길림본 「絍」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衽」으로 교감.
닫기
, 邑聚而居, 能耕田. 其外有布嶲·昆明諸落, 西極同師, 東北至葉楡, 地方數千里. 無君長, 辮주 006
각주 006)
원문 「辯」. 탕천본 「辮」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辮」으로 교감.
닫기
髮, 隨畜遷徙無常. 自布嶲東北有莋주 007
각주 007)
원문 「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莋」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莋」으로 교감. 이하 「荏」은 「莋」으로 동일하게 교감.
닫기
都國, 莋都國東北有冉駹國. 或주 008
각주 008)
원문 「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或」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或」으로 교감.
닫기
土著, 或隨畜遷徙. 自冉駹東北有白馬國, 氐주 009
각주 009)
원문 「互」. 탕천본·길림본 「氐」로 교감. 족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氐」로 교감.
닫기
種也. 此三國亦有君長. 夜郞者, 初有女子浣주 010
각주 010)
원문 「兒」. 탕천본·길림본 「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浣」으로 교감.
닫기
於遯주 011
각주 011)
원문 「▼{月+逐}」. 탕천본·길림본 「遯」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遯」으로 교감.
닫기
水, 有三節大竹浮入足[閒]주 012
각주 012)
원문 「足」. 탕천본 「足間」으로 교감, 길림본 「足閒」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足閒」으로 교감. 「間」과 「閒」은 통한다.
닫기
, 聞其中有號聲, 剖주 013
각주 01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剖」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剖」로 교감.
닫기
竹視之, 得一男兒, 歸而養之. 及주 014
각주 014)
원문 「乃」.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及」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及」으로 교감.
닫기
長, 有才武, 自立爲夜郞侯, 以竹爲姓. 武帝元鼎六年, [平]西南夷주 015
각주 015)
원문 「西南夷」. 탕천본 「平南夷」로 교감, 길림본 「平西南夷」로 교감. 단, 길림본은 ‘교감문’에서는 「平」을 보입했지만, ‘校釋’에서는 「西」를 보입한다고 설명하는 착란이 있다. 문장 구조상 술어가 필요하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平西南夷」로 교감.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平南夷」로 되어 있다.
닫기
, 爲牂주 016
각주 016)
원문 「样」. 탕천본·길림본 「牂」으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牂」으로 교감.
닫기
柯郡. 夜郞侯迎주 017
각주 017)
원문 「返」. 탕천본·길림본 「迎」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迎」으로 교감.
닫기
降, 天子賜其王印綬, 後遂殺之.”

  • 각주 001)
    원문 「都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徼」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郡徼」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滇」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滇」으로 교감. 이하 「愼」은 「滇」으로 동일하게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功」. 죽내본 「卬」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邛」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邛」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推」. 죽내본 「堆」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椎」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枉」. 죽내본·탕천본 「袵」으로 교감, 길림본 「絍」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辯」. 탕천본 「辮」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辮」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莋」으로 교감. 국명 혹은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莋」으로 교감. 이하 「荏」은 「莋」으로 동일하게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或」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或」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互」. 탕천본·길림본 「氐」로 교감. 족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兒」. 탕천본·길림본 「浣」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浣」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月+逐}」. 탕천본·길림본 「遯」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遯」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足」. 탕천본 「足間」으로 교감, 길림본 「足閒」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足閒」으로 교감. 「間」과 「閒」은 통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剖」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乃」.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及」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及」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西南夷」. 탕천본 「平南夷」로 교감, 길림본 「平西南夷」로 교감. 단, 길림본은 ‘교감문’에서는 「平」을 보입했지만, ‘校釋’에서는 「西」를 보입한다고 설명하는 착란이 있다. 문장 구조상 술어가 필요하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平西南夷」로 교감.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平南夷」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样」. 탕천본·길림본 「牂」으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牂」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返」. 탕천본·길림본 「迎」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迎」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夜郞啓搆, 爰契浮竹之靈,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