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土舟既鶩, 用興巴氏之宗,

土舟既鶩,주 001
각주 001)
원문 「驚」. 죽내본·탕천본 「鶩」로 판독. 길림본은 「鶩」으로 교감. 형상이나 뜻을 고려하여 「鶩」로 교감.
닫기
用興巴주 002
각주 002)
원문 「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巴」로 교감. 내용을 고려하여 「巴」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닫기
氏之宗,
後漢書曰: “巴郡주 003
각주 003)
원문 「▼{君+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내용상 「郡」으로 교감.
닫기
·南郡蠻本有五姓, 巴氏·樊氏·瞫주 004
각주 004)
원문 「暉」.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 「瞫」로 교감. 성씨이므로 『後漢書』에 근거해 「瞫」으로 교감.
닫기
氏·相氏·[鄭氏]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鄭氏」가 탈락된 것으로 보고 두 글자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 앞 문장에 5姓이라 했으므로 성씨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보충자료인 『後漢書』와 같이 「鄭氏」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 皆出於武落鍾離山. 其山有주 006
각주 006)
원문 「有山」.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같이 「山有」로 교감. 해석상 「山有」로 교감.
닫기
赤·黑二穴, 巴氏之子生於赤穴, 四姓之子皆生黑穴주 007
각주 007)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穴」로 교감. 내용상 「穴」로 교감.
닫기
. 未有君長, 俱事鬼神. 乃共擲劍於石穴, 約能中者, 奉以爲君. 巴氏子務相乃獨中之, 衆皆歎. 又令주 008
각주 008)
원문 「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상 「令」으로 교감.
닫기
各乘주 009
각주 009)
원문 「垂」.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같이 「乘」으로 교감. 해석상 「乘」으로 교감.
닫기
土船, 約能주 010
각주 010)
원문 「其」.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能」으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能」으로 교감.
닫기
浮者, 當以爲君. 餘姓悉沉, 唯務相獨浮. 因共立之, 是爲廩君也주 011
각주 011)
원문 「是為是廩君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은 「是爲廩君也」, 길림본은 「是爲廩君」로 교감. 해석상 참고자료인 『後漢書』에 따라서 「爲」자 뒤의 「是」는 빼고 「是爲廩君也」로 교감.
닫기
.”

  • 각주 001)
    원문 「驚」. 죽내본·탕천본 「鶩」로 판독. 길림본은 「鶩」으로 교감. 형상이나 뜻을 고려하여 「鶩」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巴」로 교감. 내용을 고려하여 「巴」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君+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내용상 「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暉」.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 「瞫」로 교감. 성씨이므로 『後漢書』에 근거해 「瞫」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鄭氏」가 탈락된 것으로 보고 두 글자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 앞 문장에 5姓이라 했으므로 성씨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보충자료인 『後漢書』와 같이 「鄭氏」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有山」.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같이 「山有」로 교감. 해석상 「山有」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穴」로 교감. 내용상 「穴」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상 「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垂」.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같이 「乘」으로 교감. 해석상 「乘」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其」.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能」으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是為是廩君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은 「是爲廩君也」, 길림본은 「是爲廩君」로 교감. 해석상 참고자료인 『後漢書』에 따라서 「爲」자 뒤의 「是」는 빼고 「是爲廩君也」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土舟既鶩, 用興巴氏之宗,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