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白菟初祥, 懷仁建武之歲.

白菟初祥, 懷仁建武之歲.
後漢書曰: “光武中興주 001
각주 001)
원문 「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興」으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興」으로 교감.
닫기
, 錫光爲交阯, [任]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任」자 보입하여 교감. 인명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後漢書』를 참조하여 「任」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延守九眞. 於是教其耕주 003
각주 003)
원문 「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耕」으로 판독. 이를 고려하여 「耕」으로 교감.
닫기
稼, 制爲冠履, 初設媒娉, 始知姻娶, 建立學校, 導주 004
각주 004)
원문 「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導」로 교감. 해석상 「導」로 교감.
닫기
之禮義. 建武十二年, 九眞徼주 005
각주 005)
원문 「儌」. 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해석상 『후한서』를 참고하여 「徼」로 교감.
닫기
外蠻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後漢書』를 참조하여 「里」를 보입하여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張游, 率주 007
각주 007)
원문 「游蠻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蠻」을 연문으로 보아 「蠻」자를 빼고 교감. 연문인듯 하므로 이에 따라 「蠻」을 생략하여 「游率」로 교감.
닫기
種人慕化주 008
각주 008)
원문 「恭慕化」.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두었으나, 길림본은 「恭」을 연문으로 파악하여 생략. 원문의 글씨체로 보건대 바로 다음의 「慕」자를 잘못해서 한 번 더 쓴 것으로 보인다. 이에 생략하여 「慕化」로 교감.
닫기
內屬, 封爲貴漢里君. 明年, 南越徼주 009
각주 009)
원문 「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해석상 「徼」로 교감.
닫기
[外]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外」를 보입하여 교감. 해석상 「外」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蠻夷獻白菟주 011
각주 011)
원문 「獻白菟」.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하였으나 길림본은 「白雉」를 보입하여 「獻白雉白菟」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也.”

  • 각주 001)
    원문 「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興」으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任」자 보입하여 교감. 인명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後漢書』를 참조하여 「任」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耕」으로 판독. 이를 고려하여 「耕」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導」로 교감. 해석상 「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儌」. 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해석상 『후한서』를 참고하여 「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後漢書』를 참조하여 「里」를 보입하여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游蠻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蠻」을 연문으로 보아 「蠻」자를 빼고 교감. 연문인듯 하므로 이에 따라 「蠻」을 생략하여 「游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恭慕化」.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두었으나, 길림본은 「恭」을 연문으로 파악하여 생략. 원문의 글씨체로 보건대 바로 다음의 「慕」자를 잘못해서 한 번 더 쓴 것으로 보인다. 이에 생략하여 「慕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徼」로 교감. 해석상 「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外」를 보입하여 교감. 해석상 「外」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獻白菟」.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하였으나 길림본은 「白雉」를 보입하여 「獻白雉白菟」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白菟初祥, 懷仁建武之歲.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