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彫題列儌, 傍帶甘人之鄉,

주 001
각주 001)
원문 「彫」.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동일하게 「雕」로 교감. 뜻이 같으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題列儌, 傍帶甘人之鄉,
後漢書曰: “禮記稱南方曰蠻, 彫題交阯주 002
각주 002)
원문 「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동일하게 「阯」로 교감. 지명이므로 「阯」로 교감.
닫기
. 其俗男女同川而浴. 故[曰]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曰」을 보입.
닫기
交阯. 其西有噉人之國, 生首子輒解而食. 謂之宜弟. 味旨則以遺주 004
각주 004)
원문 「貴」.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遣」으로 교감. 의미상 「遣」으로 교감.
닫기
其[君], [君]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君君」 두 글자가 빠져 있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君君」 두 자를 보입하여 교감. 문맥의 흐름을 위해 「君君」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喜而賞주 006
각주 006)
원문 「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賞」으로 교감. 해석상 「賞」으로 교감.
닫기
其父. 取妻美則讓其兄주 007
각주 007)
원문 「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兄」으로 교감. 『후한서』와 문맥을 참조하여 「兄」으로 교감.
닫기
. 今烏滸주 008
각주 008)
원문 「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滸」로 교감. 지명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滸」로 교감.
닫기
人是也.” 楚辭주 009
각주 009)
원문 「祠」.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祠」로 교감. 길림본 「祠」로 판독하고 「辭」로 교감. 서적명이므로 「辭」로 교감.
닫기
招魂曰주 010
각주 010)
원문 「日」.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바로 앞쪽에 있는 같은 注文에 쓰인 용례와 비교하여 「曰」로 교감.
닫기
: “彼皆甘人, 魂往必適也.”

  • 각주 001)
    원문 「彫」.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동일하게 「雕」로 교감. 뜻이 같으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동일하게 「阯」로 교감. 지명이므로 「阯」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曰」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貴」.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遣」으로 교감. 의미상 「遣」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君君」 두 글자가 빠져 있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君君」 두 자를 보입하여 교감. 문맥의 흐름을 위해 「君君」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賞」으로 교감. 해석상 「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兄」으로 교감. 『후한서』와 문맥을 참조하여 「兄」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滸」로 교감. 지명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滸」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祠」.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祠」로 교감. 길림본 「祠」로 판독하고 「辭」로 교감. 서적명이므로 「辭」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日」.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바로 앞쪽에 있는 같은 注文에 쓰인 용례와 비교하여 「曰」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彫題列儌, 傍帶甘人之鄉,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