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賨布申誠, 武陵之部爰置.

賨布申誠, 武陵之部爰置.
後漢書曰: “吳[起相]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의 기록에 근거해 「起相」을 보입. 해석상 이에 따름.
닫기
悼王, 南并蠻越주 002
각주 002)
원문 「起」.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越」로 교감. 『後漢書』 기록 및 해석을 감안해 「越」로 교감.
닫기
, 遂有洞庭·蒼梧. 秦昭王使[白]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白」을 보입하여 교감. 인명이므로 여기서도 「白」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起伐楚, 略取蠻夷, 始置黔中郡. 漢興주 004
각주 004)
원문 「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興」으로 교감. 여기서도 해석을 감안해 「興」으로 교감.
닫기
, 改爲武陵. 歲令大人輸布一匹, 小口주 005
각주 005)
원문 「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口」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口」로 교감.
닫기
二丈주 006
각주 006)
원문 「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丈」으로 교감. 내용상 「丈」으로 교감.
닫기
, 是爲賨布. 雖時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爲」자를 보입. 해석상 보입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서 여기서는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08
각주 008)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寇」로 교감. 해석상 「寇」로 교감.
닫기
盜, 而不足爲患也.”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의 기록에 근거해 「起相」을 보입. 해석상 이에 따름.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起」.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越」로 교감. 『後漢書』 기록 및 해석을 감안해 「越」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白」을 보입하여 교감. 인명이므로 여기서도 「白」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興」으로 교감. 여기서도 해석을 감안해 「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口」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丈」으로 교감. 내용상 「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爲」자를 보입. 해석상 보입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서 여기서는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寇」로 교감. 해석상 「寇」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賨布申誠, 武陵之部爰置.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