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犬戎縱暴, 克展槃瓠之功, 帝女降嬪, 仍搆蠻方之緒.

犬戎縱暴, 克展槃瓠之功, 帝女降嬪, 仍搆蠻方之緒.
范曄後漢書曰: “昔高辛氏有犬戎之寇주 001
각주 001)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後漢書』도 「寇」. 문맥상 「寇」로 교감.
닫기
. 帝患其侵暴, 而征伐之不剋. 乃訪募天下, 有能得[犬]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犬」 보입. 여기서는 『後漢書』와 해석의 명확성을 위해 「犬」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戎將吳將軍頭者, 購黃[金]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金」 보입. 문맥상 「金」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千鎰주 004
각주 004)
원문 「溢」. 황금의 무게 단위로서의 「鎰」이 더 타당하다. 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鎰」로 교감.
닫기
, 邑萬家, 又妻以少女. 時帝有畜狗, 其毛五采, 名曰槃瓠. 下令주 005
각주 005)
원문 「令」. 탕천본 「令」으로 교감.
닫기
之後, 槃瓠遂銜주 006
각주 006)
원문 「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銜」으로 교감.
닫기
人頭造闕下. 群주 007
각주 007)
원문 「辞」. 죽내본·탕천본 「群」, 길림본 「羣」으로 교감. 여기서는 『後漢書』와 원문의 이체자에 의거해 「群」으로 교감.
닫기
臣怪而診주 008
각주 008)
원문 「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診」으로 교감. 내용상 「診」으로 교감.
닫기
之, 乃吳將軍首也. 帝大喜, 而計槃瓠不可妻之以女, 又無封爵之道주 009
각주 009)
원문 「首」.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道」로 교감. ‘방법’이라는 의미의 「道」로 교감.
닫기
. 議欲有報而未知所宜주 010
각주 010)
원문 「冝」. 죽내본 「置」로 판독하고 교감했으나, 해석상 탕천본·길림본과 같이 「宜」로 교감.
닫기
. 女聞之, 以爲帝皇下令, 不可違信, 因請行, 帝不得已, 乃以女配槃瓠. 槃瓠得女, 負而走入南山石室中. 所處주 011
각주 011)
원문 「家」.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보았다. 해석상 「家」로 해석해도 무방하나 보다 적절한 해석을 위해 길림본 교감과 같이 「處」로 교감.
닫기
險絕, 人跡不至. 於是女解去衣裳, 爲僕鑒주 012
각주 012)
원문 「監」.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보았다. 한편 길림본은 「鑒」으로 교감. 여기서는 최근 연구성과를 반영해 「鑒」으로 교감.
닫기
之髻, 著獨力之衣. 帝悲思, 遣使尋求, 輒遇주 013
각주 013)
원문 「愚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愚」를 연문 처리하였다. 해석상 「愚」 생략.
닫기
風雨震주 014
각주 014)
원문 「辰」.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震」으로 교감. 여기에서는 「震」으로 교감.
닫기
晦, 使者不得進. 經年生子十二人, 六男六女. 槃瓠死後, 因自相夫妻. 織積주 015
각주 015)
원문 「續」.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積」으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積」으로 교감.
닫기
木皮, 染以草實주 016
각주 016)
원문 「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實」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實」로 교감.
닫기
. 好五色衣服, 製裁주 017
각주 017)
원문 「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裁」로 교감. 해석상 「裁」로 교감.
닫기
皆有尾形. 其母後歸, 以狀白帝, 於是使迎致諸子. 衣裳班蘭, 語言侏주 018
각주 018)
원문 「珠」.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 「殊」, 길림본 「朱」로 교감. 뜻으로 볼 때 「侏」나 「朱」로 교감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後漢書』에 의거해 「侏」로 교감.
닫기
離, 好人山壑, 不樂平曠. 帝順其意, 賜以名山廣澤. 其後滋주 019
각주 019)
원문 「濍」. 죽내본 「濨」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滋」로 교감. 타당한 해석을 위해 『後漢書』 및 기타 교감본에 의거해 「滋」로 교감.
닫기
주 020
각주 020)
원문 「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蔓」으로 교감. 문맥을 고려하여 「蔓」으로 교감.
닫기
, 號曰蠻夷.”

  • 각주 001)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後漢書』도 「寇」. 문맥상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犬」 보입. 여기서는 『後漢書』와 해석의 명확성을 위해 「犬」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金」 보입. 문맥상 「金」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溢」. 황금의 무게 단위로서의 「鎰」이 더 타당하다. 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鎰」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令」. 탕천본 「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銜」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辞」. 죽내본·탕천본 「群」, 길림본 「羣」으로 교감. 여기서는 『後漢書』와 원문의 이체자에 의거해 「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後漢書』와 같이 「診」으로 교감. 내용상 「診」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首」.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道」로 교감. ‘방법’이라는 의미의 「道」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冝」. 죽내본 「置」로 판독하고 교감했으나, 해석상 탕천본·길림본과 같이 「宜」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家」.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보았다. 해석상 「家」로 해석해도 무방하나 보다 적절한 해석을 위해 길림본 교감과 같이 「處」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監」.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보았다. 한편 길림본은 「鑒」으로 교감. 여기서는 최근 연구성과를 반영해 「鑒」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愚遇」.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愚」를 연문 처리하였다. 해석상 「愚」 생략.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辰」.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震」으로 교감. 여기에서는 「震」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續」.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積」으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積」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實」로 교감. 『後漢書』를 참조하여 「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裁」로 교감. 해석상 「裁」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珠」.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 「殊」, 길림본 「朱」로 교감. 뜻으로 볼 때 「侏」나 「朱」로 교감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後漢書』에 의거해 「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濍」. 죽내본 「濨」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滋」로 교감. 타당한 해석을 위해 『後漢書』 및 기타 교감본에 의거해 「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蔓」으로 교감. 문맥을 고려하여 「蔓」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犬戎縱暴, 克展槃瓠之功, 帝女降嬪, 仍搆蠻方之緒.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