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景初之辰, 恭文錦之獻.

景初之辰, 恭文錦之獻.
주 001
각주 001)
원문 「槐」.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魏」로 교감. 誤記가 확실하므로 「魏」로 교감.
닫기
志曰: “景初三年, 倭女王遣大夫難升未利等, 獻男生口四人, 女生[口]주 002
각주 002)
원문 「生」.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口」를 보입하여 「生口」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生口」로 교감.
닫기
六人, 班주 003
각주 003)
원문 「玨」. 죽내본은 「斑」으로 길림본·탕천본은 「班」으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班」으로 교감.
닫기
布二疋二丈주 004
각주 004)
원문 「尺」. 길림본·탕천본은 「丈」으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丈」으로 교감.
닫기
. 詔以爲親주 005
각주 005)
원문 「新」.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親」으로 교감. 비슷한 자형에 따른 誤記가 확실하므로 현전 『三國志』 원문에 따라 「親」으로 교감.
닫기
魏倭王, 假金印紫綬. 正始四年, 倭王復遣大夫伊聲耆·振邪拘주 006
각주 006)
원문 「拘」. 길림본은 「狗」로 교감. 탕천본은 「▼{牜+句}」로 판독한 듯. 이 글자는 ‘구’의 음차일 것이므로 원문 그대로 둠.
닫기
等八人, 上獻生口也.”

  • 각주 001)
    원문 「槐」.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魏」로 교감. 誤記가 확실하므로 「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生」.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口」를 보입하여 「生口」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生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玨」. 죽내본은 「斑」으로 길림본·탕천본은 「班」으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班」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尺」. 길림본·탕천본은 「丈」으로 교감.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新」. 죽내본·길림본·탕천본 모두 「親」으로 교감. 비슷한 자형에 따른 誤記가 확실하므로 현전 『三國志』 원문에 따라 「親」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拘」. 길림본은 「狗」로 교감. 탕천본은 「▼{牜+句}」로 판독한 듯. 이 글자는 ‘구’의 음차일 것이므로 원문 그대로 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景初之辰, 恭文錦之獻. 자료번호 : hw.m_0002_010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