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周業斯隆, 姬誦銘其入賀,

周業斯隆, 姬주 001
각주 001)
원문 「姖」. 죽내본 「姬」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姬」로 교감. 인명이므로 문맥에 맞게 「姬」로 교감.
닫기
誦銘其入賀,
肅愼記주 002
각주 002)
원문 「肅愼記」. 죽내본·탕천본 「肅愼記」로 판독, 길림본 「肅愼國記」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曰: “昔武王克商, 通道九夷百蠻, 使各以其[方]주 003
각주 003)
원문 「其」. 죽내본 「其」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其方」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國語』를 참고하여 「其方」으로 교감.
닫기
賄來貢, 使無忘職業. 於是肅愼주 004
각주 004)
원문 「肅愼」. 죽내본·탕천본 「肅愼」으로 판독, 길림본 「肅愼氏」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肅愼氏」로 되어 있다.
닫기
貢楛矢石砮주 005
각주 005)
원문 「砮」. 죽내본 「弩」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砮」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砮」로 되어 있다.
닫기
, 其長尺有주 006
각주 006)
원문 「尺有」. 죽내본 「有尺」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尺有」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尺有」로 되어 있다.
닫기
咫. 先王欲昭其令주 007
각주 007)
원문 「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國語』를 참고하여 「令」으로 교감.
닫기
德之致遠也, 以示後人, 使永監焉. 故銘其括주 008
각주 008)
원문 「括」. 죽내본·탕천본 「栝」로 판독, 길림본 「括」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栝」로 되어 있는데, 『國語』에 주를 단 韋昭는 이때의 「栝」을 화살과 화살 깃 사이로 파악하였다. 당초본은 「栝」로 판독하고 「楛」로 교감.
닫기
曰, ‘肅[愼]氏주 009
각주 009)
원문 「肅氏」. 죽내본 「肅氏」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肅愼氏」로 교감. 종족명이므로 『國語』를 참고하여 「肅愼氏」로 교감.
닫기
之貢矢’. 王又以賜陳胡公. 成王時復入賀, 王使榮伯作賄肅愼之命也.” 誦, 成王名之주 010
각주 010)
원문 「之」. 죽내본 「之」로 판독, 탕천본 「之」 생략, 길림본 「也」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

  • 각주 001)
    원문 「姖」. 죽내본 「姬」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姬」로 교감. 인명이므로 문맥에 맞게 「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肅愼記」. 죽내본·탕천본 「肅愼記」로 판독, 길림본 「肅愼國記」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其」. 죽내본 「其」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其方」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國語』를 참고하여 「其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肅愼」. 죽내본·탕천본 「肅愼」으로 판독, 길림본 「肅愼氏」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肅愼氏」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砮」. 죽내본 「弩」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砮」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砮」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尺有」. 죽내본 「有尺」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尺有」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尺有」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國語』를 참고하여 「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括」. 죽내본·탕천본 「栝」로 판독, 길림본 「括」로 판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國語』의 해당 부분은 「栝」로 되어 있는데, 『國語』에 주를 단 韋昭는 이때의 「栝」을 화살과 화살 깃 사이로 파악하였다. 당초본은 「栝」로 판독하고 「楛」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肅氏」. 죽내본 「肅氏」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肅愼氏」로 교감. 종족명이므로 『國語』를 참고하여 「肅愼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之」. 죽내본 「之」로 판독, 탕천본 「之」 생략, 길림본 「也」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周業斯隆, 姬誦銘其入賀, 자료번호 : hw.m_0002_009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