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揷羽申交, 婚姻之首爰適,

揷羽申交, 婚姻之首주 001
각주 001)
원문 「首」. 죽내본 「首」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道」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爰適,
肅愼國記曰: “肅愼俗, 嫁娶之法, 男以毛羽插女頭, 女和則持歸, 然後置禮娉주 002
각주 002)
원문 「置禮娉」. 죽내본 「置禮娉」으로 판독, 탕천본 「置娉禮」로 교감, 길림본 「置禮聘」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의 해당 부분은 각각 「致禮娉」·「致禮娉」·「致禮聘」로 되어 있다.
닫기
. 婦貞而女婬, 貴壯而賤老. 寡居終身不嫁. 性凶悍주 003
각주 003)
원문 「▼{忄+卑}」. 죽내본 「悍」으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悍」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를 참고하여 「悍」으로 교감.
닫기
, 以無憂哀相尙주 004
각주 004)
원문 「向」. 죽내본 「問」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尙」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를 참고하여 「尙」으로 교감.
닫기
也.”

  • 각주 001)
    원문 「首」. 죽내본 「首」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道」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置禮娉」. 죽내본 「置禮娉」으로 판독, 탕천본 「置娉禮」로 교감, 길림본 「置禮聘」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의 해당 부분은 각각 「致禮娉」·「致禮娉」·「致禮聘」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忄+卑}」. 죽내본 「悍」으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悍」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를 참고하여 「悍」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向」. 죽내본 「問」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尙」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晉書』와 『太平御覽』 所引 『肅愼國記』, 『冊府元龜』를 참고하여 「尙」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揷羽申交, 婚姻之首爰適, 자료번호 : hw.m_0002_009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