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八族殊胤, 五部分司.

八族殊胤, 五部分司.
주 001
각주 001)
원문 「括」. 길림본 「栝」로 판독 후 「括」로 교감. 이하 동일.
닫기
地志曰: “隋주 002
각주 002)
원문 「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隋」로 교감. 국명이므로 「隋」로 교감. 단, 당 초기까지 「隨」와 「隋」는 혼용되기도 했다(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전혜선 옮김, 『수양제』, 역사비평사, 2014, 233~238쪽)
닫기
주 003
각주 003)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開」로 교감. 수의 연호 중에 間皇은 없으며, 開皇이 확인되므로 「開」로 교감.
닫기
皇中, 其王名昌. 昌死, 子餘宣立, 死, [子]주 004
각주 004)
원문 「子死」. 탕천본·길림본 「立死子」로 교감. 「立」을 「子」로 오식하여 생긴 연문일 가능성이 있고,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立死子」로 교감.
닫기
餘璋주 005
각주 005)
원문 「慞」. 탕천본·길림본 「璋」으로 교감. 인명으로, 『隋書』와 『三國史記』를 참고하여 「璋」으로 교감.
닫기
立. 其國有沙氏·燕氏·刕氏·解氏·眞氏·[□氏]주 006
각주 006)
원문 누락. 탕천본·길림본 「國氏」를 보입. 뒤에서 八族이라고 했으므로 「□氏」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隋書』와 『北史』의 해당 부분은 「國氏」로 되어 있지만, 「國」인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닫기
·木氏·首氏, 此八族, 其大姓也. 其官有[十]六주 007
각주 007)
원문 「六」. 탕천본·길림본 「十六」으로 교감. 백제의 관등은 16관등일 뿐만 아니라, 해당 주문에서도 뒤이어 16관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므로 「十六」으로 교감.
닫기
等, 左平五人, 第一等, 達率三十人, 第二. 恩率以下無員주 008
각주 008)
원문 「員」. 탕천본 「常員」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常員」으로 되어 있다.
닫기
, 第三. 德率第四, 打주 009
각주 009)
원문 「打」. 죽내본 「扞」으로 교감, 탕천본 「扜」으로 교감, 길림본 「杅」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扞」으로 되어 있고, 『隋書』와 『北史』에는 「杅」로 되어 있다.
닫기
率第五, 奈率第六, 六等以上, 冠飾銀花. 將德第七, 紫帶. 施德第八, 皂帶. 固德第九, 赤帶. 季德第十, 靑帶. 對德第十一, 以下皆黃帶. 文督第十二, 武督第十三, 以下皆白帶, 佑주 010
각주 010)
원문 「佑」. 탕천본·길림본 「佐」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隋書』, 『北史』에는 「佐」로 되어 있다.
닫기
軍第十四, 臄주 011
각주 011)
원문 「臄」.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振」으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隋書』, 『北史』에는 「振」으로 되어 있다.
닫기
武第十五, 尅虞第十六. 又其內官有前內部·穀部·內주 012
각주 012)
원문 「內」. 탕천본 「肉」으로 교감.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肉」으로 되어 있다.
닫기
部·椋주 013
각주 013)
원문 「椋」. 탕천본·길림본 「內椋」으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內椋」으로 되어 있다.
닫기
주 014
각주 014)
탕천본·길림본은 「內椋部」에 뒤이어 「外椋部·馬部·刀部」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外椋部·馬部·刀部」가 있다.
닫기
·功德部·藥部·木部·法[部]주 015
각주 015)
원문 「法」.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法部」로 교감. 문맥에 맞게 『周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法部」로 교감.
닫기
·後宮部. 又有將長. 外官有司軍部·司從주 016
각주 016)
원문 「從」. 탕천본·길림본 「徒」로 교감.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徒」로 되어 있다.
닫기
部·司空部·司寇部·點口部·客部·外舍部·綢部·白주 017
각주 017)
원문 「白」. 탕천본 「日」로 교감, 길림본 「日」로 판독.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日」로 되어 있다.
닫기
官部주 018
각주 018)
「日官部」에 뒤이어 탕천본은 「市部」를 보입, 길림본은 「都市部」를 보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都市部」로 되어 있고, 『北史』에는 「市部」로 되어 있다.
닫기
, 凡此衆官各有宰. 官長在任皆三年一代주 019
각주 019)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문맥에 맞게 『隋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代」로 교감.
닫기
. 王所都城주 020
각주 020)
원문 「신출자」. 탕천본·길림본 「城」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城」으로 교감.
닫기
內. 又爲五都주 021
각주 021)
원문 「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部」로 교감. 5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分爲五部」로 되어 있고, 『隋書』에는 「畿內爲五部」로 되어 있다.
닫기
, 皆達주 022
각주 022)
원문 「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達」로 교감. 관등을 가리키는데, 백제 관등에 「建率」은 보이지 않으므로, 『周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達」로 교감. 「建」은 「達」의 오식일 가능성이 있다.
닫기
率領之. 又城中五巷, 士庶居焉. 又有五方, 若中夏之都督,方皆達率領之. 每方管郡, 多者至주 023
각주 023)
원문 「至」. 죽내본 「巫」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至」로 교감. 문맥에 맞게 「至」로 교감.
닫기
十, 少주 024
각주 024)
원문 「小」. 탕천본·길림본 「少」로 교감. 앞의 「多」와 대구이므로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少」로 교감.
닫기
者六七. 郡將皆恩주 025
각주 025)
원문 「恩」. 탕천본·길림본 「德」으로 교감. 郡長의 관등에 관한 부분으로 『周書』와 『北史』에는 「德」으로 되어 있지만, 현재로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率爲之. 郡縣置道使, 亦名城주 026
각주 026)
원문 「城名」. 탕천본·길림본 「名城」으로 교감.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名城」으로 교감.
닫기
主.”

  • 각주 001)
    원문 「括」. 길림본 「栝」로 판독 후 「括」로 교감. 이하 동일.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隋」로 교감. 국명이므로 「隋」로 교감. 단, 당 초기까지 「隨」와 「隋」는 혼용되기도 했다(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전혜선 옮김, 『수양제』, 역사비평사, 2014, 233~238쪽)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開」로 교감. 수의 연호 중에 間皇은 없으며, 開皇이 확인되므로 「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子死」. 탕천본·길림본 「立死子」로 교감. 「立」을 「子」로 오식하여 생긴 연문일 가능성이 있고,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立死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慞」. 탕천본·길림본 「璋」으로 교감. 인명으로, 『隋書』와 『三國史記』를 참고하여 「璋」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누락. 탕천본·길림본 「國氏」를 보입. 뒤에서 八族이라고 했으므로 「□氏」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隋書』와 『北史』의 해당 부분은 「國氏」로 되어 있지만, 「國」인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六」. 탕천본·길림본 「十六」으로 교감. 백제의 관등은 16관등일 뿐만 아니라, 해당 주문에서도 뒤이어 16관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므로 「十六」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員」. 탕천본 「常員」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常員」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打」. 죽내본 「扞」으로 교감, 탕천본 「扜」으로 교감, 길림본 「杅」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扞」으로 되어 있고, 『隋書』와 『北史』에는 「杅」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佑」. 탕천본·길림본 「佐」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隋書』, 『北史』에는 「佐」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臄」.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振」으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隋書』, 『北史』에는 「振」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內」. 탕천본 「肉」으로 교감.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肉」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椋」. 탕천본·길림본 「內椋」으로 교감. 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內椋」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탕천본·길림본은 「內椋部」에 뒤이어 「外椋部·馬部·刀部」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外椋部·馬部·刀部」가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法」.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法部」로 교감. 문맥에 맞게 『周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法部」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從」. 탕천본·길림본 「徒」로 교감.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徒」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白」. 탕천본 「日」로 교감, 길림본 「日」로 판독. 관부명의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日」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日官部」에 뒤이어 탕천본은 「市部」를 보입, 길림본은 「都市部」를 보입.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에는 「都市部」로 되어 있고, 『北史』에는 「市部」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문맥에 맞게 『隋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신출자」. 탕천본·길림본 「城」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城」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 「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部」로 교감. 5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周書』와 『北史』에는 「分爲五部」로 되어 있고, 『隋書』에는 「畿內爲五部」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 「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達」로 교감. 관등을 가리키는데, 백제 관등에 「建率」은 보이지 않으므로, 『周書』와 『北史』를 참고하여 「達」로 교감. 「建」은 「達」의 오식일 가능성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至」. 죽내본 「巫」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至」로 교감. 문맥에 맞게 「至」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4)
    원문 「小」. 탕천본·길림본 「少」로 교감. 앞의 「多」와 대구이므로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少」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5)
    원문 「恩」. 탕천본·길림본 「德」으로 교감. 郡長의 관등에 관한 부분으로 『周書』와 『北史』에는 「德」으로 되어 있지만, 현재로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26)
    원문 「城名」. 탕천본·길림본 「名城」으로 교감.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名城」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八族殊胤, 五部分司. 자료번호 : hw.m_0002_008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