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擁叛卒以稱强, 承附金而得姓.

擁叛卒以稱强, 承附金而得姓.
주 001
각주 001)
원문 「栝」. 죽내본·탕천본 「括」으로 판독. 길림본 「括」로 교감. 「括」로 교감.
닫기
地志曰: “新羅王姓金氏, 其先所出未之詳也.” 隋주 002
각주 002)
원문 「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隋」로 교감. 국명에 해당하며 이에 「隋」로 교감.
닫기
東藩風俗記云: “金姓相承三十餘代주 003
각주 003)
원문 「代」, 탕천본 「世」로 교감. 탕천본은 『한원』의 찬자가 당태종 이세민의 이름을 피휘하여 「世」를 「代」로 썼다고 간주하고 해당 글자를 모두 「世」로 교감하였다.
닫기
, 其주 004
각주 004)
원문 「某」. 죽내본은 「其」로 판독하였으나, 탕천본·길림본 「其」로 교감. 의미상 「其」로 교감.
닫기
주 005
각주 005)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先」으로 교감. 「先」의 오사로 보이므로 「先」으로 교감.
닫기
附庸於百濟. 주 006
각주 006)
죽내본은 「征高驪」 옆에 괄호로 ‘「隋」가 빠진 것인가’라고 표기.
닫기
주 007
각주 007)
원문 「征」.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은 「佂」으로 판독한 후 「征」으로 교감.
닫기
高驪, 驪주 008
각주 008)
원문 「〻」.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高麗」로, 길림본은 「高驪」로 각각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다만 기호 대신 해당 글자인 「驪」로 표기함.
닫기
주 009
각주 009)
원문 「人」. 탕천본은 『한원』의 찬자가 당태종 이세민의 이름을 피휘하여 「民」을 「人」으로 썼다고 간주하고 해당 글자를 모두 「民」으로 교감.
닫기
不堪役주 010
각주 010)
원문 「伇」. 탕천본·길림본 「役」으로 교감.
닫기
, 相率歸之, 遂致强盛. 其官有十七주 011
각주 011)
원문 「七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十七」로 교감. 원문은 오사인 듯하며, 「十七」로 교감.
닫기
等. 一曰伊伐주 012
각주 012)
원문 「代」. 길림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代」로 교감하였다는 표기를 해두었다. 한편 죽내본은 「伐」로 교감. 「代」는 「伐」의 오사인 듯하며, 이에 「伐」로 교감.
닫기
주 013
각주 013)
원문 「于」.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于」로 판독하거나 교감하여 「于」로 일괄 표기함. 원문에 기록된 고유명사는 교감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해당 부분은 신라의 관등을 표기한 다른 자료들을 참조했을 때 「干」의 오기로 여겨진다. 따라서 「干」으로 교감. 이하에서도 「于」는 모두 「干」으로 교감하였다. 원문에는 세번째 迊‘干’ 외에는 모두 「于」로 표기하였다.
닫기
, 二曰주 014
각주 014)
원문 「百」.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문장 구조를 고려하여 「曰」로 교감.
닫기
伊尺干, 三曰迊干주 015
각주 015)
원문 「迊干」.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迎于」로 교감. 길림본은 앞글자는 「迎」으로 판독하고, 뒷글자는 「于」로 교감.
닫기
, 주 016
각주 016)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연문으로 간주하였다. 연문인 듯하므로 생략.
닫기
四曰波珍干, 五曰大阿주 017
각주 01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은 「尺」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干, 六曰阿주 018
각주 018)
원문 「何」. 죽내본 「阿」의 오사로 간주, 탕천본·길림본은 「阿尺」으로 교감. 「何」는 「阿」의 오사인 듯하나 「尺」의 보입은 확언할 수 없다. 이에 보입하지 않고 「阿」로만 교감
닫기
干, 七曰乙吉干, 八曰沙咄干, 九曰級伐주 019
각주 019)
원문 「代」. 탕천본·길림본은 원문대로, 죽내본은 「伐」로 교감. 「代」는 「伐」의 오사인 듯하며, 이에 「伐」로 교감.
닫기
干, [十]주 020
각주 02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 보입. 문장의 흐름상 「十」을 보입.
닫기
曰大奈麻, 十一曰奈[麻]주 021
각주 02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麻」 보입. 나마를 가리키는 듯하며, 이에 「麻」 보입.
닫기
, 十二曰大舍, 十三曰小舍, 十四[曰]주 022
각주 02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문장 구조상 「曰」을 보입.
닫기
吉士주 023
각주 023)
원문 「告土」. 죽내본·탕천본은 「吉士」로 판독, 길림본은 「吉土」로 판독하고 「吉士」로 교감. 「吉士」의 오사로 보이므로 교감.
닫기
, 十五曰大烏, 十六曰小烏, 十七曰造位之.”

  • 각주 001)
    원문 「栝」. 죽내본·탕천본 「括」으로 판독. 길림본 「括」로 교감. 「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隋」로 교감. 국명에 해당하며 이에 「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代」, 탕천본 「世」로 교감. 탕천본은 『한원』의 찬자가 당태종 이세민의 이름을 피휘하여 「世」를 「代」로 썼다고 간주하고 해당 글자를 모두 「世」로 교감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某」. 죽내본은 「其」로 판독하였으나, 탕천본·길림본 「其」로 교감. 의미상 「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先」으로 교감. 「先」의 오사로 보이므로 「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은 「征高驪」 옆에 괄호로 ‘「隋」가 빠진 것인가’라고 표기.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征」.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은 「佂」으로 판독한 후 「征」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〻」.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高麗」로, 길림본은 「高驪」로 각각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다만 기호 대신 해당 글자인 「驪」로 표기함.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人」. 탕천본은 『한원』의 찬자가 당태종 이세민의 이름을 피휘하여 「民」을 「人」으로 썼다고 간주하고 해당 글자를 모두 「民」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伇」. 탕천본·길림본 「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七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十七」로 교감. 원문은 오사인 듯하며, 「十七」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代」. 길림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代」로 교감하였다는 표기를 해두었다. 한편 죽내본은 「伐」로 교감. 「代」는 「伐」의 오사인 듯하며, 이에 「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于」.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于」로 판독하거나 교감하여 「于」로 일괄 표기함. 원문에 기록된 고유명사는 교감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해당 부분은 신라의 관등을 표기한 다른 자료들을 참조했을 때 「干」의 오기로 여겨진다. 따라서 「干」으로 교감. 이하에서도 「于」는 모두 「干」으로 교감하였다. 원문에는 세번째 迊‘干’ 외에는 모두 「于」로 표기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百」.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문장 구조를 고려하여 「曰」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迊干」.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은 「迎于」로 교감. 길림본은 앞글자는 「迎」으로 판독하고, 뒷글자는 「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연문으로 간주하였다. 연문인 듯하므로 생략.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은 「尺」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何」. 죽내본 「阿」의 오사로 간주, 탕천본·길림본은 「阿尺」으로 교감. 「何」는 「阿」의 오사인 듯하나 「尺」의 보입은 확언할 수 없다. 이에 보입하지 않고 「阿」로만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代」. 탕천본·길림본은 원문대로, 죽내본은 「伐」로 교감. 「代」는 「伐」의 오사인 듯하며, 이에 「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 보입. 문장의 흐름상 「十」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麻」 보입. 나마를 가리키는 듯하며, 이에 「麻」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문장 구조상 「曰」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告土」. 죽내본·탕천본은 「吉士」로 판독, 길림본은 「吉土」로 판독하고 「吉士」로 교감. 「吉士」의 오사로 보이므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擁叛卒以稱强, 承附金而得姓. 자료번호 : hw.m_0002_007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