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焉骨巉巖, 竦二峯而功漢.

焉骨巉巖, 竦二峯而功주 001
각주 001)
원문 「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切」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漢.
髙驪記云: “焉骨山在國西北, 夷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人」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言屋山. 在平壤西北七百里, 東西二嶺, 壁立千仭. 自足至頂주 003
각주 003)
원문 「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頂」으로 교감. 문맥상 「頂」으로 교감.
닫기
, 皆是蒼石. 遠望巉巖狀, 類荊門·三峽. 其上無別주 004
각주 004)
원문 「無別」.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別無」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草木, 唯生靑松, 擢幹주 005
각주 005)
원문 「擢幹」.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幹擢」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雲表. 髙驪於南北峽주 006
각주 006)
원문 「硤」. 죽내본·길림본·탕천본 원문대로, 전후 맥락으로 보아 ‘峽’의 오기로 보인다. ‘峽’으로 교감.
닫기
口, 築斷주 007
각주 007)
원문 「斷」.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段」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爲城. 此卽夷藩, 樞要之所也.”

  • 각주 001)
    원문 「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切」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人」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頂」으로 교감. 문맥상 「頂」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無別」.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別無」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擢幹」.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幹擢」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硤」. 죽내본·길림본·탕천본 원문대로, 전후 맥락으로 보아 ‘峽’의 오기로 보인다. ‘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斷」.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段」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焉骨巉巖, 竦二峯而功漢.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