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俗異三方, 猶祖八條之敎.

俗異三方, 猶祖八條之敎.
漢書地理志曰: “朝鮮·穢貉주 001
각주 001)
원문 「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닫기
·句麗주 002
각주 002)
원문 「麗」.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驪」로 교감.
닫기
주 003
각주 003)
원문 「夷」. 탕천본·길림본 「蠻夷」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殷道衰, 箕子去之朝鮮, 敎其人주 004
각주 004)
원문 「人」. 탕천본 「民」으로 교감하였으나 두 글자는 뜻이 통함. 이에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탕천본 「人」을 「民」으로 교감함.
닫기
以禮義, 田蠶織作. 樂浪·朝鮮人犯禁八條, 相殺以當주 005
각주 005)
원문 「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當」으로 교감. 문맥상 「當」으로 교감.
닫기
時償주 006
각주 006)
원문 「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償」으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償」으로 교감.
닫기
殺, 相傷者, 以穀償. 相盜者, 男沒주 007
각주 007)
원문 「沒」.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沒」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닫기
入爲其家奴, 女爲주 008
각주 008)
원문 「奴」. 죽내본 연문으로 생략. 奴와 婢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奴」를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닫기
婢. 欲自贖者, 人五十萬. 雖免爲庶人, [俗]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俗」을 보입.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俗」을 보입.
닫기
猶羞之, 嫁娶無所讎주 010
각주 010)
원문 「雔」. 죽내본 「讐」, 탕천본·길림본 「讎」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讎」로 교감.
닫기
. 是以其人終不相盜, 無門戶之閉. 然天性和順, 異於三方之外. 故孔子悼道주 011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不[行]주 012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行」을 보입. 문맥상 「行」을 보입.
닫기
, 設桴於海, 欲[居]주 013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居」를 보입. 문맥상 「居」를 보입.
닫기
九夷, 有心之주 014
각주 014)
원문 「心之」.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以也」, 길림본 「以也夫」로 교감.
닫기
.”

  • 각주 001)
    원문 「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麗」.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驪」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夷」. 탕천본·길림본 「蠻夷」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人」. 탕천본 「民」으로 교감하였으나 두 글자는 뜻이 통함. 이에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탕천본 「人」을 「民」으로 교감함.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當」으로 교감. 문맥상 「當」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償」으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償」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沒」.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沒」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奴」. 죽내본 연문으로 생략. 奴와 婢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奴」를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俗」을 보입.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俗」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雔」. 죽내본 「讐」, 탕천본·길림본 「讎」로 교감.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行」을 보입. 문맥상 「行」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居」를 보입. 문맥상 「居」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心之」.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以也」, 길림본 「以也夫」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俗異三方, 猶祖八條之敎.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