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靈河演貺, 照日晷以含胎, 伏鼈摛祥, 叩骨城而闢壤.

靈河演貺, 照日晷주 001
각주 001)
원문 「晷」. 탕천본 판독한 글자는 알 수 없으나 「晷」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닫기
以含胎, 伏鼈摛祥, 叩骨城而闢壤.
魏收주 002
각주 002)
원문 「牧」.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收」로 교감. 『위서(후위서)』를 편찬한 魏收를 가리키므로 「收」로 교감.
닫기
後魏書주 003
각주 003)
원문 「魏後漢書」.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魏」를 생략하고 「後漢書」는 「後魏書」로 교감. 『위서』의 오기로 보이므로, 「後魏書」로 교감.
닫기
曰: “高句驪者, 出於夫餘. 自言先祖朱蒙주 004
각주 004)
원문 「朱〻蒙」.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朱蒙朱蒙」으로 교감하여 뒤의 ‘朱蒙’을 뒷구절의 주어로 둠.
닫기
. 母河伯女. 夫餘王주 005
각주 005)
원문 「夫餘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爲夫餘王」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閉於室中, 爲日所照, 引身避之, 日影又逐. 旣而有孕, 生一卵주 006
각주 006)
원문 「卵」.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卵」으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닫기
, 大如五升. 夫餘王棄之與犬食주 007
각주 007)
원문 「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食」을 연자로 보아 생략. 길림본은 「食」 뒤에 ? 표기를 함.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犬不食. 棄之與豕, 豕又不食. 棄之於路, 牛馬避之. 又棄之於野, 鳥주 008
각주 008)
원문 「鳥」. 길림본 「衆鳥」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以毛茹之. 夫餘王剖之, 不能破, 遂還其母. 其母以物裹之, 置於暖處, 有一男破殼주 009
각주 009)
원문 「其」. 탕천본·길림본 「及其」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而出. 其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及」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長也, 字之曰朱蒙. 其俗言朱蒙者善射也. 夫餘國人以朱蒙非人所生, 將주 011
각주 011)
원문 「將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生將」으로 교감. 문맥상 「生將」으로 교감.
닫기
有異志, 請除之. 王不𦗟, 命之養馬. 朱蒙주 012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母」를, 길림본 「每」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私試, 知有善惡. 駿者減주 013
각주 013)
원문 「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滅」으로 교감. 문맥상 「減」으로 교감
닫기
주 014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令」 보입. 보임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15
각주 015)
원문 「廋」. 탕천본·길림본 「瘦」로 교감. 문맥상 「瘦」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닫기
, 駑者善養令주 016
각주 016)
원문 「合」. 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상 「令」으로 교감.
닫기
肥. 夫餘王以肥者自乘, 以瘦者給朱蒙. 後狩于田, 以朱蒙善射, 限之一矢. 朱蒙雖一矢, 殪獸甚多주 017
각주 017)
원문 「多多」. 탕천본·길림본 한 글자를 연문으로 보고 「多」로 교감. 중복 표기된 연문인 듯하므로 「多」로 교감.
닫기
. 夫餘之臣又謀殺之, 母주 018
각주 018)
원문 「母」. 탕천본·길림본 「朱蒙母」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陰知以告朱蒙. 蒙주 019
각주 019)
원문 「蒙」. 탕천본·길림본 「朱蒙」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20
각주 020)
원문 「與」. 길림본 「乃與」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烏引·烏違等二人, 棄夫餘東南走. 中道遇有大水, 欲濟無梁. 夫餘人追之甚주 021
각주 021)
원문 「甚甚」. 죽내본·탕천본·길림본 한 글자를 연문으로 보고 「甚」으로 교감. 중복 표기된 연문인 듯하므로 「甚」으로 교감.
닫기
急, 蒙주 022
각주 022)
원문 「蒙」. 탕천본·길림본 「朱蒙」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告水曰: ‘我是日子, 河伯外孫. 今日逃走, 追兵垂주 023
각주 023)
원문 「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垂」로 교감. 문맥상 「垂」로 교감.
닫기
及, 如何得濟.’ 於是魚鼈並浮, 爲之成橋주 024
각주 024)
원문 「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橋」로 교감. 문맥상 「橋」로 교감.
닫기
, 朱蒙得渡, 魚鼈乃解, 追騎不得渡주 025
각주 025)
원문 「度」.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渡」로 교감. 『위서』 고려전을 참조해 「渡」로 교감.
닫기
. 朱蒙주 026
각주 02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遂」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至[普]주 027
각주 02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普」를 보입. 『위서』 고려전을 참조해 「普」를 보입.
닫기
述水, 遇見三人, 其一人著麻衣, 一人著細주 028
각주 028)
원문 「細」.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納」으로 교감.
닫기
衣, 一人著水藻衣. 與朱蒙至紇升骨城, 遂居焉. 號曰高句驪, 因以爲氏焉.”

  • 각주 001)
    원문 「晷」. 탕천본 판독한 글자는 알 수 없으나 「晷」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牧」.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收」로 교감. 『위서(후위서)』를 편찬한 魏收를 가리키므로 「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魏後漢書」.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魏」를 생략하고 「後漢書」는 「後魏書」로 교감. 『위서』의 오기로 보이므로, 「後魏書」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朱〻蒙」.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朱蒙朱蒙」으로 교감하여 뒤의 ‘朱蒙’을 뒷구절의 주어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夫餘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爲夫餘王」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卵」.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卵」으로 교감했다고 표기함.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食」을 연자로 보아 생략. 길림본은 「食」 뒤에 ? 표기를 함.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鳥」. 길림본 「衆鳥」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其」. 탕천본·길림본 「及其」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及」을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將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生將」으로 교감. 문맥상 「生將」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母」를, 길림본 「每」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滅」으로 교감. 문맥상 「減」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令」 보입. 보임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廋」. 탕천본·길림본 「瘦」로 교감. 문맥상 「瘦」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合」. 탕천본·길림본 「令」으로 교감. 문맥상 「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多多」. 탕천본·길림본 한 글자를 연문으로 보고 「多」로 교감. 중복 표기된 연문인 듯하므로 「多」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母」. 탕천본·길림본 「朱蒙母」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蒙」. 탕천본·길림본 「朱蒙」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與」. 길림본 「乃與」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 「甚甚」. 죽내본·탕천본·길림본 한 글자를 연문으로 보고 「甚」으로 교감. 중복 표기된 연문인 듯하므로 「甚」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 「蒙」. 탕천본·길림본 「朱蒙」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垂」로 교감. 문맥상 「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4)
    원문 「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橋」로 교감. 문맥상 「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5)
    원문 「度」.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渡」로 교감. 『위서』 고려전을 참조해 「渡」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遂」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2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普」를 보입. 『위서』 고려전을 참조해 「普」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8)
    원문 「細」.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納」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靈河演貺, 照日晷以含胎, 伏鼈摛祥, 叩骨城而闢壤.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