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鈴鼓旣懸, 用展接神之禮,

鈴鼓旣懸, 用展接神之禮,
後漢書曰: “馬韓人常以五月田竟祭鬼神, 晝주 001
각주 001)
원문 「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晝」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晝」로 교감.
닫기
夜酒會, 群주 002
각주 002)
원문 「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群」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群」으로 교감.
닫기
聚歌舞. 舞輒數十人相隨蹋地爲節.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諸國邑各以一人[主]祭주 003
각주 003)
원문 「祭」. 탕천본·길림본 「主祭」로 교감.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後漢書』를 참고하여 「主祭」로 교감.
닫기
天神, 號爲天君. 又立蘇塗, 建주 004
각주 004)
원문 「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建」으로 교감.
닫기
大木주 005
각주 005)
원문 「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木」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木」으로 교감.
닫기
以懸鈴鼓, 事鬼神. 蘇塗之義, 有似於西方주 006
각주 006)
원문 「方」. 길림본 「域」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域」으로 되어 있다.
닫기
주 007
각주 007)
원문 「淳」. 탕천본·길림본 「浮」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와 『晉書』를 참고하여 「浮」로 교감.
닫기
주 008
각주 008)
원문 「啚」. 탕천본 「圖」로 교감. ‘부도’는 범어 ‘Buddha'의 음역이므로 문맥에 맞게 「圖」로 교감.
닫기
주 009
각주 009)
「蘇塗之義 有似於西方浮圖之」는 현전하는 『後漢書』에는 없지만, 『三國志』의 해당 부분에 「有似浮屠」로 되어 있으므로, 宋代 이전 『後漢書』에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晉書』의 해당 부분에 「其蘇塗之義 有似西域浮屠也」로 되어 있다.
닫기
.”

  • 각주 001)
    원문 「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晝」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晝」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群」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群」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祭」. 탕천본·길림본 「主祭」로 교감.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後漢書』를 참고하여 「主祭」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建」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木」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木」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方」. 길림본 「域」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域」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淳」. 탕천본·길림본 「浮」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와 『晉書』를 참고하여 「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啚」. 탕천본 「圖」로 교감. ‘부도’는 범어 ‘Buddha'의 음역이므로 문맥에 맞게 「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蘇塗之義 有似於西方浮圖之」는 현전하는 『後漢書』에는 없지만, 『三國志』의 해당 부분에 「有似浮屠」로 되어 있으므로, 宋代 이전 『後漢書』에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晉書』의 해당 부분에 「其蘇塗之義 有似西域浮屠也」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鈴鼓旣懸, 用展接神之禮, 자료번호 : hw.m_0002_005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