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樂崇近皷, 舞詠之趣方遙,

樂崇近皷주 001
각주 001)
원문 「近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鼓」로 교감. 『後漢書』 및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迎鼓」로 되어 있다. 정문과 주문에 모두 「近皷」로 표기된 점을 고려하여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 舞詠之趣方遙,
後漢書曰: “夫餘, 食주 002
각주 002)
원문 「食」. 탕천본·길림본 「食飮」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食飮」으로 되어 있다.
닫기
用俎豆. 會同, 拜爵洗爵, 揖주 003
각주 003)
원문 「捎」. 죽내본·길림본 「揖」으로 교감, 탕천본 「揖」으로 판독. 문맥에 맞게 『후한서』를 참고하여 「揖」으로 교감.
닫기
讓升降. 以臘주 004
각주 004)
원문 「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臘」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臘」으로 교감.
닫기
月祭天, 大會. 連日飮주 005
각주 005)
원문 「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飮」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飮」으로 교감.
닫기
酒歌舞, 名曰近皷주 006
각주 006)
원문 「近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鼓」로 교감. 『後漢書』 및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迎鼓」로 되어 있지만, 고유명사는 명칭의 기원과 유래가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문과 주문에 공히 「近皷」로 표기된 점을 고려하여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 是時斷刑獄, 解囚徒주 007
각주 007)
원문 「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徒」로 교감.
닫기
也.”

  • 각주 001)
    원문 「近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鼓」로 교감. 『後漢書』 및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迎鼓」로 되어 있다. 정문과 주문에 모두 「近皷」로 표기된 점을 고려하여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食」. 탕천본·길림본 「食飮」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食飮」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捎」. 죽내본·길림본 「揖」으로 교감, 탕천본 「揖」으로 판독. 문맥에 맞게 『후한서』를 참고하여 「揖」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臘」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臘」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飮」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飮」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近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鼓」로 교감. 『後漢書』 및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迎鼓」로 되어 있지만, 고유명사는 명칭의 기원과 유래가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문과 주문에 공히 「近皷」로 표기된 점을 고려하여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徒」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樂崇近皷, 舞詠之趣方遙, 자료번호 : hw.m_0002_004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