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四加在列, 五穀盈疇. 赤玉可珍, 黑貂斯貴.

四加在列, 五穀盈疇. 赤玉可珍, 黑貂斯貴.
後漢書曰: “夫餘, 於東夷之域, 最爲平주 001
각주 001)
원문 「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平」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平」으로 교감.
닫기
敞, 土宜五穀. 出名馬·赤玉·貂·豿주 002
각주 002)
원문 「豿」. 탕천본·길림본 「豽」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豽」로 되어 있다.
닫기
, 大珠주 003
각주 003)
원문 「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珠」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珠」로 교감.
닫기
如酸棗. 以員柵주 004
각주 004)
원문 「稱」.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柵」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柵」으로 교감.
닫기
爲城. 有宮室·倉庫·牢獄. 其人麁주 005
각주 005)
원문 「麁」. 탕천본 「麤」로 판독, 길림본 「麤」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麤」로 되어 있다.
닫기
大, 强주 006
각주 006)
원문 「强」. 탕천본 「彊」으로 판독, 길림본 「彊」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彊」으로 되어 있다.
닫기
勇而謹厚, 不爲寇주 007
각주 007)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寇」로 교감.
닫기
抄. 以弓·矢·刀·矛주 008
각주 008)
원문 「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矛」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矛」로 교감.
닫기
爲兵. 以六畜名官, 有馬加·牛加·狗加·猪加주 009
각주 009)
원문 「猪加」. 길림본 「豬加」로 판독.
닫기
. 其邑落皆屬諸加.” 魏略曰: “衣尙白주 010
각주 010)
원문 「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白」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를 참고하여 「白」으로 교감.
닫기
, 衣錦繡文罽, 白黑貂주 011
각주 011)
원문 「豿」. 탕천본·길림본 「貂」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지만, 정문은 「貂」로 되어 있으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貂」로 교감.
닫기
爲裘. 譯人傳辭, 皆跪, 手據地. 其殺人者死주 012
각주 012)
원문 「其殺者人死」. 탕천본·길림본 「其殺人者死」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를 참고하여 「其殺人者死」로 교감.
닫기
, 沒入其家주 013
각주 013)
원문 「家」. 탕천본·길림본 「家人」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家人」으로 되어 있다.
닫기
, 盜一者, 責十二. 男女婬주 014
각주 014)
원문 「婬」. 길림본 「淫」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淫」으로 되어 있다.
닫기
, 婦주 015
각주 015)
원문 「婦」. 탕천본 「婦人」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婦人」으로 되어 있다.
닫기
妬, 宜주 016
각주 016)
원문 「宜」. 길림본 「皆」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皆」로 되어 있다.
닫기
殺之주 017
각주 017)
원문 「〻(宜)煞」. 죽내본 「之煞」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殺之」로 교감. 문맥에 맞게 『삼국지』를 참고하여 「殺之」로 교감.
닫기
.”

  • 각주 001)
    원문 「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平」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平」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豿」. 탕천본·길림본 「豽」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豽」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珠」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珠」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稱」.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柵」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柵」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麁」. 탕천본 「麤」로 판독, 길림본 「麤」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麤」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强」. 탕천본 「彊」으로 판독, 길림본 「彊」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彊」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矛」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矛」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猪加」. 길림본 「豬加」로 판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白」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를 참고하여 「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豿」. 탕천본·길림본 「貂」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지만, 정문은 「貂」로 되어 있으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其殺者人死」. 탕천본·길림본 「其殺人者死」로 교감. 문맥에 맞게 『三國志』를 참고하여 「其殺人者死」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家」. 탕천본·길림본 「家人」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家人」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婬」. 길림본 「淫」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淫」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婦」. 탕천본 「婦人」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婦人」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宜」. 길림본 「皆」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三國志』의 해당 부분은 「皆」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〻(宜)煞」. 죽내본 「之煞」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殺之」로 교감. 문맥에 맞게 『삼국지』를 참고하여 「殺之」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四加在列, 五穀盈疇. 赤玉可珍, 黑貂斯貴. 자료번호 : hw.m_0002_004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