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弓貴角端, 裘珍鼲毳.

주 001
각주 001)
원문 「方」.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弓」으로 교감. 내용상 「弓」으로 교감.
닫기
貴角端, 裘珍鼲毳.
後漢[書]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書」 보입. 『후한서』를 가리킴이 분명하므로 「書」 보입.
닫기
曰: “鮮卑地禽獸, 異於中國者, 有野馬·原羊·角端牛. 以角爲弓, 俗謂之角端弓也. 又有豹주 003
각주 003)
원문 「豹」.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貂」로 교감. 『후한서』에는 「貂」로 되어 있으나 현전하는 『후한서』는 송대 이후의 판본이므로 『한원』 所引 『후한서』와 어느 것이 원전에 가까운지 판단하기 쉽지 않음. 따라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닫기
·豽·鼲子, 皮毛柔蠕주 004
각주 004)
원문 「蠕」.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輭」, 길림본 「蝡」. 참고자료인 『후한서』와 원문의 글자가 동일한 뜻이므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닫기
, 故天下以爲名裘주 005
각주 005)
원문 「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裘」로 교감. 「求」에도 갖옷의 뜻이 있지만 『후한서』와 『삼국지』에 모두 「裘」로 되어 있다. 이에 「裘」로 교감.
닫기
之也.”

  • 각주 001)
    원문 「方」.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弓」으로 교감. 내용상 「弓」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書」 보입. 『후한서』를 가리킴이 분명하므로 「書」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豹」.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貂」로 교감. 『후한서』에는 「貂」로 되어 있으나 현전하는 『후한서』는 송대 이후의 판본이므로 『한원』 所引 『후한서』와 어느 것이 원전에 가까운지 판단하기 쉽지 않음. 따라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蠕」.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輭」, 길림본 「蝡」. 참고자료인 『후한서』와 원문의 글자가 동일한 뜻이므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裘」로 교감. 「求」에도 갖옷의 뜻이 있지만 『후한서』와 『삼국지』에 모두 「裘」로 되어 있다. 이에 「裘」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弓貴角端, 裘珍鼲毳. 자료번호 : hw.m_0002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