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駹驪疊躍, 結蟻衆於白登,

駹驪疊躍, 結蟻衆於白登,
漢書曰: “漢初, 高帝悉兵, 多步兵, 四十萬北逐주 001
각주 001)
원문 「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문맥상 「逐」으로 교감.
닫기
匈奴. 高帝先至平城, 步兵未주 002
각주 002)
원문 「朱」. 길림본 「朱」로 판독하고 「未」로 교감. 문맥상 「未」로 교감.
닫기
盡到. 冒주 003
각주 003)
원문 「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冒」으로 교감. 흉노 수장 중 한 명인 冒頓을 지칭하므로 「冒」로 교감.
닫기
頓縱주 004
각주 004)
원문 「縱」. 길림본 「縱」으로 판독 후 「緃」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精兵三十주 005
각주 005)
원문 「万」. 죽내본·탕천본·길림본도 「万」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연문인 듯하므로 「万」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닫기
餘萬騎, 圍高帝於白주 006
각주 006)
원문 「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祭」를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登」을 쓰는 과정에서 잘못 쓴 글자로 여겨지므로 빼는 것으로 교감. 한편 『한원』 기록 중 일부에서 제시한 것처럼 글자 오른쪽에 ‘〻’가 확인된다. 이는 서자가 글자를 잘못 베낀 것을 의식한 경우, 衍字임을 알려주기 위한 표식으로 여겨진다. 모든 연자에 해당 부호가 표시된 것은 아니지만, 『한원』을 필사할 때의 분위기를 추론해 볼 수 있는 단서이다. 이와 동일한 사례는 고려기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닫기
登七日. 〈白登在平城東南, 去平城[十]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을 보입. 거리를 보여주는 숫자가 없으므로 「十」을 보입.
닫기
餘里.〉 漢兵中外不得相救餉. 匈奴騎, 其西方盡白, 東方盡駹, 北方盡驪, 南方盡騂馬. 〈駹青馬, 驪深주 008
각주 008)
원문 「梁」. 길림본 「梁」으로 판독 후 「深」으로 교감. 문맥상 「深」으로 교감.
닫기
黑也.〉 高帝迺주 009
각주 009)
원문 「迺」. 길림본 「迺」로 판독 후 「乃」로 교감. 두 글자는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교감.
닫기
使使間厚遺閼氏. 閼氏迺謂冒주 010
각주 010)
원문 「昌」. 죽내본은 「冒」로 판독. 길림본은 「昌」으로 판독 후 「冒」로 교감. 冒頓은 인명이므로 「冒」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문자는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교감.
닫기
頓曰: ‘兩主不相困. 今得漢地, 單于終非能居之也. 且漢主주 011
각주 011)
원문 「亦」. 죽내본·길림본 「亦」, 탕천본 「主」. 탕천본은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主」로 교감하였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한다. 한편 『사기』 흉노열전에는 해당 부분이 漢王으로 되어 있다.
닫기
有神, 單于察之.’ 冒頓迺開주 012
각주 012)
원문 「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開」로 교감. 문맥상 「開」로 교감.
닫기
圍一角. 於是高皇帝令士주 013
각주 013)
원문 「士」. 길림본은 「土」로 판독하고 「士」로 교감.
닫기
皆持滿 傅矢外鄕, 從解圍주 014
각주 014)
원문 「通」. 죽내본·길림본 「通」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한편 탕천본 『한서』 흉노전을 참조하여 「隅」로 교감. 그러나 『한서』의 해당 구절에서 「隅」를 보입할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通」을 연자로 보고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닫기
角直出, 得與大軍合也.”

  • 각주 001)
    원문 「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문맥상 「逐」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朱」. 길림본 「朱」로 판독하고 「未」로 교감. 문맥상 「未」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冒」으로 교감. 흉노 수장 중 한 명인 冒頓을 지칭하므로 「冒」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縱」. 길림본 「縱」으로 판독 후 「緃」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万」. 죽내본·탕천본·길림본도 「万」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연문인 듯하므로 「万」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祭」를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登」을 쓰는 과정에서 잘못 쓴 글자로 여겨지므로 빼는 것으로 교감. 한편 『한원』 기록 중 일부에서 제시한 것처럼 글자 오른쪽에 ‘〻’가 확인된다. 이는 서자가 글자를 잘못 베낀 것을 의식한 경우, 衍字임을 알려주기 위한 표식으로 여겨진다. 모든 연자에 해당 부호가 표시된 것은 아니지만, 『한원』을 필사할 때의 분위기를 추론해 볼 수 있는 단서이다. 이와 동일한 사례는 고려기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을 보입. 거리를 보여주는 숫자가 없으므로 「十」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梁」. 길림본 「梁」으로 판독 후 「深」으로 교감. 문맥상 「深」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迺」. 길림본 「迺」로 판독 후 「乃」로 교감. 두 글자는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昌」. 죽내본은 「冒」로 판독. 길림본은 「昌」으로 판독 후 「冒」로 교감. 冒頓은 인명이므로 「冒」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문자는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亦」. 죽내본·길림본 「亦」, 탕천본 「主」. 탕천본은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主」로 교감하였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한다. 한편 『사기』 흉노열전에는 해당 부분이 漢王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開」로 교감. 문맥상 「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士」. 길림본은 「土」로 판독하고 「士」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通」. 죽내본·길림본 「通」을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한편 탕천본 『한서』 흉노전을 참조하여 「隅」로 교감. 그러나 『한서』의 해당 구절에서 「隅」를 보입할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通」을 연자로 보고 생략하는 것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駹驪疊躍, 結蟻衆於白登,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