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句龍傳首, 方申馬寔之威,

句龍傳首, 方申馬寔之威,
後漢書[曰]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일반적인 문장 구조를 따라 「曰」을 보입.
닫기
: “永和五年, 句龍吾斯, 立句龍王車紐주 002
각주 002)
원문 「申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車紐」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車紐」로 교감.
닫기
爲單于. 東引烏주 003
각주 003)
원문 「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烏」로 교감. 오환을 가리키므로 「烏」로 교감.
닫기
桓, [西]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西」를 보입. 東과 西를 대비해 지칭하는 구절이므로 문맥에 따라 「西」를 보입.
닫기
주 005
각주 005)
원문 「牧」.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收」로 교감. 문맥상 「收」로 교감.
닫기
주 006
각주 006)
원문 「差」. 죽내본·탕천본 「羌」으로 교감. 내용상 「羌」으로 교감.
닫기
戎及諸胡等數萬人, 攻주 007
각주 007)
원문 「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닫기
破京兆虎주 008
각주 008)
원문 「武」. 길림본은 원문대로, 죽내본·탕천본은 「虎」로 교감. 당대에는 당고조 이연의 조부인 당태조(시호 경황제) 李虎의 피휘를 위해 「虎」 대신 「武」를 사용함. 하지만 본 글에서는 본래의 의미를 살려 「虎」로 교감.
닫기
牙營, 上郡[都]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都」를 보입. 관직명이므로 「都」를 보입.
닫기
尉及軍司馬, 遂寇주 010
각주 010)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상 「寇」로 교감.
닫기
주 011
각주 011)
원문 「椋」. 탕천본·길림본 「掠」로 판독. 죽내본 「掠」으로 교감. 의미상 「掠」으로 교감.
닫기
并·涼·幽·冀주 012
각주 012)
원문 「糞」. 죽내본·길림본 「冀」로 교감. 후한대 州의 명칭이므로 「冀」로 교감.
닫기
四州. 中郞주 013
각주 013)
원문 「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郎」으로 교감. 중랑장이라는 관직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郎」으로 교감.
닫기
將馬寔募[刺]주 014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刺」를 보입. 『후한서』 남흉노열전을 보면, 이때 마식은 ‘자객을 구하여 구룡 오사를 암살하고 그의 수급을 낙양으로 보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참조할 때 「刺」를 보입하는 것이 문맥의 흐름상 자연스러움. 이에 「刺」를 보입.
닫기
殺句龍吾斯, 送주 015
각주 015)
원문 「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送」으로 교감. 문맥상 「送」으로 교감.
닫기
首洛陽. 建康元年, 進擊餘黨, 斬首千二百級, 匈奴·烏桓十七萬餘口, 皆詣주 016
각주 016)
원문 「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詣」로 교감. 문맥상 「詣」로 교감.
닫기
寔降. 車주 017
각주 017)
원문 「東」.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車」로 교감. 내용상 「車」로 교감.
닫기
重牛羊不可勝數.”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일반적인 문장 구조를 따라 「曰」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申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車紐」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車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焉」.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烏」로 교감. 오환을 가리키므로 「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西」를 보입. 東과 西를 대비해 지칭하는 구절이므로 문맥에 따라 「西」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牧」.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收」로 교감. 문맥상 「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差」. 죽내본·탕천본 「羌」으로 교감. 내용상 「羌」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武」. 길림본은 원문대로, 죽내본·탕천본은 「虎」로 교감. 당대에는 당고조 이연의 조부인 당태조(시호 경황제) 李虎의 피휘를 위해 「虎」 대신 「武」를 사용함. 하지만 본 글에서는 본래의 의미를 살려 「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都」를 보입. 관직명이므로 「都」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상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椋」. 탕천본·길림본 「掠」로 판독. 죽내본 「掠」으로 교감. 의미상 「掠」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糞」. 죽내본·길림본 「冀」로 교감. 후한대 州의 명칭이므로 「冀」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郡」.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郎」으로 교감. 중랑장이라는 관직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郎」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刺」를 보입. 『후한서』 남흉노열전을 보면, 이때 마식은 ‘자객을 구하여 구룡 오사를 암살하고 그의 수급을 낙양으로 보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참조할 때 「刺」를 보입하는 것이 문맥의 흐름상 자연스러움. 이에 「刺」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送」으로 교감. 문맥상 「送」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詣」로 교감. 문맥상 「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東」.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車」로 교감. 내용상 「車」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句龍傳首, 方申馬寔之威,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