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連題上望, 帶十角以飛名, 須卜·豪宗, 參四姓而標稱.

連題上望, 帶十角以飛名, 須卜·豪宗, 參四姓而標稱.
范曄後漢書曰: “匈奴俗, 歲有三龍祠, 常以正月·五月·九月上戊주 001
각주 001)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戊」로 교감. 흉노의 습속을 설명하는 부분으로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戊」로 교감.
닫기
日祭天神. 南單于既內附, 兼祠漢帝. 因會諸部議國事. 走馬及駱駝爲樂. 其大臣貴者左賢王, 次左谷蠡王, [次右賢王, 次右谷蠡王.]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次右賢王 次右谷蠡王」을 보입. 『후한서』를 참조하여 「次右賢王 次右谷蠡王」을 보입.
닫기
謂之四주 003
각주 003)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四」로 교감. 좌·우현왕과 좌·우곡리왕 총4명을 가리키며, 이에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四」로 교감.
닫기
角. 次左右日逐王, 次左右溫禺鞮王, 次左右漸주 004
각주 004)
원문 「漸」.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斬」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將王. 是爲六角, 皆單于子弟주 005
각주 005)
원문 「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弟」로 판독. 전거자료를 참조해 「弟」로 교감.
닫기
, 當주 006
각주 006)
원문 「當」. 탕천본 「次弟當」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爲單于者也. 異姓大臣, 左右骨都侯, 次左右尸逐주 007
각주 007)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逐」으로 교감.
닫기
骨都侯, 其餘日逐且渠當戶. 諸주 008
각주 008)
원문 「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諸」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諸」로 교감.
닫기
官號各以權주 009
각주 009)
원문 「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權」으로 교감. 문맥상 「權」으로 교감.
닫기
勢優劣部衆多少, 爲高下次第焉. 單于주 010
각주 010)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선우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于」로 교감.
닫기
姓虛連題. 異姓有呼衍氏·須卜氏·丘林氏·蘭氏四姓, [爲]주 011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爲」 보입. 문장구조상 동사가 필요하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爲」를 보입.
닫기
國中名族, 常與單于주 012
각주 012)
원문 「單于無文」. 죽내본 「文」을, 탕천본·길림본 「無文」을 衍字로 보고 생략.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無文」을 衍字로 보아 생략.
닫기
婚姻. 呼衍氏爲左, 蘭氏·須卜氏爲右. 主理주 013
각주 013)
원문 「理」.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治」로 교감.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獄聽訟, 當決주 014
각주 014)
원문 「史」.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決」로 교감. 문맥상 「決」로 교감.
닫기
輕重, 口白單于. 無文書簿주 015
각주 015)
원문 「薄」. 죽내본·탕천본 「簿」, 길림본 「薄」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簿」로 교감.
닫기
領與之也.”

  • 각주 001)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戊」로 교감. 흉노의 습속을 설명하는 부분으로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戊」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次右賢王 次右谷蠡王」을 보입. 『후한서』를 참조하여 「次右賢王 次右谷蠡王」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四」로 교감. 좌·우현왕과 좌·우곡리왕 총4명을 가리키며, 이에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四」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漸」.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斬」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弟」로 판독. 전거자료를 참조해 「弟」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當」. 탕천본 「次弟當」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逐」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諸」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諸」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權」으로 교감. 문맥상 「權」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선우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爲」 보입. 문장구조상 동사가 필요하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爲」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單于無文」. 죽내본 「文」을, 탕천본·길림본 「無文」을 衍字로 보고 생략.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無文」을 衍字로 보아 생략.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理」.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治」로 교감.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史」.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決」로 교감. 문맥상 「決」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薄」. 죽내본·탕천본 「簿」, 길림본 「薄」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簿」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連題上望, 帶十角以飛名, 須卜·豪宗, 參四姓而標稱.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