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百金成列, 李牧收勳於鴈門,

百金成列, 李牧收勳於鴈門,
史記曰: “李牧주 001
각주 001)
원문 「收」. 탕천본·길림본 「牧」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牧」으로 교감.
닫기
爲趙주 002
각주 002)
원문 「起」. 죽내본 「趙」, 탕천본 「趙北」, 길림본 「趙之北」으로 각각 글자를 보입하여 교감. 해석에 큰 무리가 없으므로 「趙」로 교감.
닫기
邊將, 常居代주 003
각주 003)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지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代」로 교감.
닫기
鴈門, 備匈奴. 便주 004
각주 004)
원문 「便」. 죽내본·길림본·탕천본 「以便」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宜置吏주 005
각주 005)
원문 「史」.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吏」로 교감. 내용을 고려해 「吏」로 교감.
닫기
, 市租주 006
각주 006)
원문 「袓」.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租」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닫기
皆輸[入]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入」을 보입.
닫기
주 008
각주 008)
원문 「莫」. 죽내본 「幕」, 탕천본·길림본 「莫」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府, 爲士주 009
각주 009)
원문 「士」.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士」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닫기
卒費. 日殺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數」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牛饗士주 011
각주 011)
원문 「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문맥상 「士」를 보입
닫기
, 謹烽주 012
각주 012)
원문 「烽」.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烽」으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닫기
火, 多間諜. 匈奴주 013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卽」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入盜, 即急入保, 不與戰數歲, 不亡주 014
각주 014)
원문 「刄」.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亡」으로 교감. 『사기』의 기록을 참조해 「亡」으로 교감.
닫기
失. 時皆以爲怯주 015
각주 015)
원문 「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怯」으로 교감. 문맥상 「怯」으로 교감.
닫기
, 趙王怒, 使人代주 016
각주 016)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사기』의 기록을 참조해 「代」로 교감.
닫기
將. 歲餘戰不利, 多亡주 017
각주 017)
원문 「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亡」으로 교감. 문맥상 「亡」으로 교감.
닫기
失, 乃復遣李牧주 018
각주 018)
원문 「收」. 탕천본·길림본 「牧」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牧」으로 교감.
닫기
如舊. 數歲, 乃選百金주 019
각주 019)
원문 「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金」으로 교감. 『사기』를 참조해 「金」으로 교감.
닫기
之士五萬,大啓주 020
각주 020)
원문 「啓」.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破」로 교감.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匈奴.” 漢書云: “選百金之士주 021
각주 021)
원문 「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사기』를 참조해 「士」로 교감.
닫기
[十]주 022
각주 02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을 보입. 『사기』를 참조해 「十」을 보입.
닫기
萬.” 注云: “良[士]주 023
각주 02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士」 보입. 문맥상 『한서』 권50 服虔注에 의거해 「士」를 보입.
닫기
주 024
각주 024)
원문 「真」. 죽내본 「眞」, 탕천본·길림본 「直」으로 교감. 『한서』 권50 張馮汲鄭傳 제20 馮唐의 服虔注에 의거해 「直」으로 교감.
닫기
百金之주 025
각주 025)
원문 「之」.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之」를 연문으로 파악해 생략하여 교감. 해석상 큰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也.”

  • 각주 001)
    원문 「收」. 탕천본·길림본 「牧」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牧」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起」. 죽내본 「趙」, 탕천본 「趙北」, 길림본 「趙之北」으로 각각 글자를 보입하여 교감. 해석에 큰 무리가 없으므로 「趙」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지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便」. 죽내본·길림본·탕천본 「以便」으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史」.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吏」로 교감. 내용을 고려해 「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袓」.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租」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入」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莫」. 죽내본 「幕」, 탕천본·길림본 「莫」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士」.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士」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數」를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문맥상 「士」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烽」.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烽」으로 교감했다는 표기가 있음.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卽」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刄」.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亡」으로 교감. 『사기』의 기록을 참조해 「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杜」.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怯」으로 교감. 문맥상 「怯」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代」로 교감. 『사기』의 기록을 참조해 「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巳」.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亡」으로 교감. 문맥상 「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收」. 탕천본·길림본 「牧」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사기』를 참조해 「牧」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金」으로 교감. 『사기』를 참조해 「金」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啓」.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破」로 교감. 그러나 교감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 「十」.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士」로 교감. 『사기』를 참조해 「士」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十」을 보입. 『사기』를 참조해 「十」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士」 보입. 문맥상 『한서』 권50 服虔注에 의거해 「士」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4)
    원문 「真」. 죽내본 「眞」, 탕천본·길림본 「直」으로 교감. 『한서』 권50 張馮汲鄭傳 제20 馮唐의 服虔注에 의거해 「直」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5)
    원문 「之」.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之」를 연문으로 파악해 생략하여 교감. 해석상 큰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百金成列, 李牧收勳於鴈門,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