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涇陽晝晦, 爲掩胡塵,

涇陽晝주 001
각주 001)
원문 「盡」.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晝」로 교감. 주문의 내용에 의거해 「晝」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닫기
주 002
각주 002)
원문 「䀲」. 길림본 「晦」로 교감. 문맥상 「晦」로 교감.
닫기
, 爲掩胡塵,
毛詩曰: “周宣王時주 003
각주 003)
원문 「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時」로 교감. 문맥상 「時」로 교감.
닫기
, 獫주 004
각주 004)
원문 「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獫」으로 교감. 『시경』을 참조해 「獫」으로 교감.
닫기
狁[孔]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孔」을 보입. 『시경』을 참조해 「孔」을 보입.
닫기
熾. 侵鎬及方, 至於涇陽. 元戎十乘, 以先주 006
각주 006)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 「先」으로 교감. 『시경』을 참조해 「先」으로 교감.
닫기
啟行. 薄伐獫狁, 至于주 007
각주 007)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문맥상 「于」로 교감.
닫기
太原.” 周幽王時, 居涇주 008
각주 008)
원문 「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涇」으로 교감. 『사기』 권110 흉노를 참조해 「涇」으로 교감.
닫기
渭之間, 胡塵晝晦也.

  • 각주 001)
    원문 「盡」.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晝」로 교감. 주문의 내용에 의거해 「晝」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䀲」. 길림본 「晦」로 교감. 문맥상 「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時」로 교감. 문맥상 「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獫」으로 교감. 『시경』을 참조해 「獫」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孔」을 보입. 『시경』을 참조해 「孔」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光」. 죽내본·탕천본 「先」으로 교감. 『시경』을 참조해 「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문맥상 「于」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涇」으로 교감. 『사기』 권110 흉노를 참조해 「涇」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涇陽晝晦, 爲掩胡塵,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