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상림이 두 마음을 품고 머뭇거렸으나, 끝내 축량의 은혜에 감복하였다.

상림이 두 마음을 품고 머뭇거렸으나, 끝내 축량의 은혜에 감복하였다.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순제(재위: 126~143) 시기에 일남[군] 상림[현] 변방의 만이 구련 등 수천인이 성과 관청을 불사르고 장리를 살해하였다. 이고의 논의를 받아들여, 축량을 배하여 구진태수로 삼고, 장교를 교지자사로 삼았다. [장]교가 [그곳에] 이르러 위무와 회유를 보이기 시작하니, 모두 항복하여 흩어졌다. [축]량은 구진에 도달해 수레 한 대로 적중에 들어가 방략을 말하고 위엄과 신의로써 초유하니, 항복하는 자가 수만 인이었다. 모두 [축]량을 위해주 001
각주 001)
「爲良」은 ‘(축)량을 위해’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양민이 되어’ 혹은 ‘어질어져서’로 해석할 수도 있다.
닫기
관부를 쌓아 세우니, 이로 말미암아 영외가 다시 평정되었다.”
 
• 참고
『後漢書』 卷86 南蠻西南夷列傳76 永和二年 日南象林徼外蠻夷區憐等數千人攻象林縣 燒城寺 殺長吏 … 四府悉從固議 即拜祝良爲九眞太守 張喬爲交阯刺史 喬至 開示慰誘 並皆降散 良到九眞 單車入賊中 設方略 招以威信 降者數萬人 皆爲良築起府寺 由是嶺外復平

  • 각주 001)
    「爲良」은 ‘(축)량을 위해’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양민이 되어’ 혹은 ‘어질어져서’로 해석할 수도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상림이 두 마음을 품고 머뭇거렸으나, 끝내 축량의 은혜에 감복하였다. 자료번호 : hw.k_0002_01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