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경초 연간에, 수놓은 비단의 헌상을 받들었다.

경초 연간에, 수놓은 비단의 헌상을 받들었다.
『위지』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경초 3년(239)에주 001
각주 001)
현전 『三國志』 원문에는 「景初二年」. 길림본·탕천본에 따르면 『太平御覽』에 인용된 『三國志』 원문에는 「景初三年」으로 되어 있음. 동북아역사재단 편, 『三國志』 왜인전 주석에서는 『日本書紀』에 인용된 『三國志』와 『梁書』의 기록을 근거로 「景初二年」을 「景初三年」의 誤記라고 하였음(동북아역사재단 편, 『삼국지·진서 외국전 역주』, 2009, 99쪽, 주 512).
닫기
왜 여왕이 대부 난승미리 등을 보내 남자 생구 4인, 여자 생구 6인, 수놓은 베 2필 2장을 바쳤다. 조서를 내려 친위왜왕으로 삼고 금인과 자수를 주었다. 정시 4년(243)에 왜왕이 다시 대부 이성기와 진사구주 002
각주 002)
현전 『三國志』 원문에는 「掖邪狗」.
닫기
등 8인을 보내 생구를 바쳤다.”
 
• 참고
『三國志』 卷30 倭 景初二年六月 倭女王遣大夫難升米等詣郡 求詣天子朝獻 太守劉夏遣吏將送詣京都 其年十二月 詔書報倭女王曰 制詔親魏倭王卑彌呼 帶方太守劉夏遣使送汝大夫難升米次使都巿牛利奉汝所獻男生口四人 女生口六人班布二匹二丈 以到 汝所在踰遠 乃遣使貢獻 是汝之忠孝 我甚哀汝 今以汝爲親魏倭王 假金印紫綬 裝封付帶方太守假授汝 … 其四年 倭王復遣使大夫伊聲耆掖邪狗等八人 上獻生口倭錦絳靑縑綿衣帛布丹木短弓矢 掖邪狗等壹拜率善中郞將印綬

  • 각주 001)
    현전 『三國志』 원문에는 「景初二年」. 길림본·탕천본에 따르면 『太平御覽』에 인용된 『三國志』 원문에는 「景初三年」으로 되어 있음. 동북아역사재단 편, 『三國志』 왜인전 주석에서는 『日本書紀』에 인용된 『三國志』와 『梁書』의 기록을 근거로 「景初二年」을 「景初三年」의 誤記라고 하였음(동북아역사재단 편, 『삼국지·진서 외국전 역주』, 2009, 99쪽, 주 512). 바로가기
  • 각주 002)
    현전 『三國志』 원문에는 「掖邪狗」.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경초 연간에, 수놓은 비단의 헌상을 받들었다. 자료번호 : hw.k_0002_010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