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아배계미는, 스스로 천손이라는 칭호를 표방했다.

아배계미는, 스스로 천손이라는 칭호를 표방했다.
『송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영초 연간(420~422)에 왜국에 왕이 있었는데 찬이라고 했다. 원가 연간(424~453)에 이르러 찬이 죽고 동생 진이 즉위하였는데 사지절·도독·안동대장군·왜국왕을 자칭했다. 순제 때(477~479)에 사신을 보내 표문을 올려 말했다. ‘옛적의 조상으로부터주 001
각주 001)
「祖禰」의 뜻은 ① 祖廟와 父廟를 함께 이르는 말, ②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아버지, 또는 조상을 두루 이르는 말인데, 할아버지와 아버지라는 뜻을 따라 해석하고 같은 조서의 “渡平海北九十五國”과 연관지어 5세기 초·중반 왜의 한반도 諸國 정벌을 입증하는 근거로 제시하기도 함.
닫기
동쪽으로 모인 55국을 정벌하고, 서쪽으로 중이 66국을 복종시켰으며, 해북 95국을 [바다를] 건너 평정했습니다주 002
각주 002)
이때 바다를 건너 평정한 나라를 한반도의 諸國으로 보기도 하지만(武田幸男, 「平西將軍倭隋の理解-五世紀の倭國政權にふれて-」 『朝鮮學報』 77, 1975), 일본에서 한반도를 가리키는 방위는 西이며, 이 때 건넌 바다는 세토 내해로 볼수 있으므로 이 표문의 北은 九州 지역을 가리킨다는 주장(노중국,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지식산업사, 2012)이 최근 제기되었음.
닫기
.’” 지금 살펴보니주 003
각주 003)
주석자의 기술. 현전 『隋書』와 『通典』의 내용과 같은 부분이 많지만, “父子相傳王”은 기존의 사료에서 찾아지지 않는 내용.
닫기
그 나라의 왕은 성이 아매이고 나라 이름을 아배계미라고 했다. 중화의 말로 하늘의 자식이다. 부자가 대대로 왕위를 전한다. 궁녀600~700인이 있다. 왕의 장자를 와카미타후리라고 부르는데, 중화의 말로 태자이다.
 
• 참고
『宋書』 卷97 倭 永初二年 詔曰 倭讚萬里修貢 遠誠宜甄 可賜除授 太祖元嘉二年 讚又遣司馬曹達奉表獻方物 讚死 弟珍立 遣使貢獻 自稱使持節都督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六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 … 順帝昇明二年 遣使上表曰 封國偏遠 作藩于外 自昔祖禰 躬擐甲冑 跋涉山川 不遑寧處 東征毛人五十五國 西服衆夷六十六國 渡平海北九十五國
『通典』 卷185 倭 隋文帝開皇二十年 倭王姓阿每 名多利思比孤 其國號阿輩雞彌 華言天兒也 遣使詣闕
『隋書』 卷81 倭 開皇二十年 倭王姓阿每 字多利思比孤 號阿輩雞彌 遣使詣闕 上令所司訪其風俗 使者言倭王以天爲兄 以日爲弟 天未明時出聽政 跏趺坐 日出便停理務 云委我弟 高祖曰 此太無義理 於是訓令改之 王妻號雞彌 後宮有女六七百人
『冊府元龜』 外臣部 晉安帝時 倭王贊死 弟彌立 彌死 子濟立 宋元嘉二十年 濟死 世子興立 興死 弟武立 隋開皇二十年 其王姓阿每 字多利思比孤 號河輩鷄彌 遣使朝貢

  • 각주 001)
    「祖禰」의 뜻은 ① 祖廟와 父廟를 함께 이르는 말, ②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아버지, 또는 조상을 두루 이르는 말인데, 할아버지와 아버지라는 뜻을 따라 해석하고 같은 조서의 “渡平海北九十五國”과 연관지어 5세기 초·중반 왜의 한반도 諸國 정벌을 입증하는 근거로 제시하기도 함. 바로가기
  • 각주 002)
    이때 바다를 건너 평정한 나라를 한반도의 諸國으로 보기도 하지만(武田幸男, 「平西將軍倭隋の理解-五世紀の倭國政權にふれて-」 『朝鮮學報』 77, 1975), 일본에서 한반도를 가리키는 방위는 西이며, 이 때 건넌 바다는 세토 내해로 볼수 있으므로 이 표문의 北은 九州 지역을 가리킨다는 주장(노중국,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지식산업사, 2012)이 최근 제기되었음. 바로가기
  • 각주 003)
    주석자의 기술. 현전 『隋書』와 『通典』의 내용과 같은 부분이 많지만, “父子相傳王”은 기존의 사료에서 찾아지지 않는 내용.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배계미는, 스스로 천손이라는 칭호를 표방했다. 자료번호 : hw.k_0002_010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