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근원을 열고 왕업을 개척하여, 금수 연간(진·송대)에 나라를 열었고,

근원을 열고 왕업을 개척하여, 금수 연간(진·송대)에 나라를 열었고,
『괄지지』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송서』를 살펴보니 원가 연간(424~453)에 왜왕 진이 스스로 사지절·도독·왜·백제·신라·임나·진한·모한육국제군사라 칭하였다. 이는 곧 신라라는
나라가 진과 송의 사이에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또한 『진[서]』·『송[서]』·『제[서]』·『양[서]』에 모두 정전(신라전)이 없다주 001
각주 001)
현전하는 『梁書』에는 신라전이 수록되어 있다.
닫기
. 그러므로 그 나라가 유래한 바를 상세하게 알 수 없다.”金과 水는 晉과 宋주 002
각주 002)
五行相生說에 근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곽승훈, 앞의 논문, 264~265쪽 참조). 湯淺幸孫은 金水를 진・송 연간에 재위한 신라왕의 이름(奈勿王-川水)을 한문으로 쓴 것이라 하였다(위의 책, 94쪽).
닫기
이다.
 
• 참고
『宋書』 卷97 倭國 太祖元嘉二年 讚又遣司馬曹達奉表獻方物 讚死 弟珍立 遣使貢獻 自稱使持節都督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六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 表求除正 詔除安東將軍倭國王 珍又求除正倭隋等十三人平西征虜冠軍輔國將軍號 詔並聽

  • 각주 001)
    현전하는 『梁書』에는 신라전이 수록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五行相生說에 근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곽승훈, 앞의 논문, 264~265쪽 참조). 湯淺幸孫은 金水를 진・송 연간에 재위한 신라왕의 이름(奈勿王-川水)을 한문으로 쓴 것이라 하였다(위의 책, 94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근원을 열고 왕업을 개척하여, 금수 연간(진·송대)에 나라를 열었고, 자료번호 : hw.k_0002_007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