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남소[성]에는 수자리를 두어 경보를 발하게 했으니, [모]용각이 먼저 공을 세워 두각을 낸 것으로 징험되었고,

남소[성]에는 수자리를 두어 경보를 발하게 했으니, [모]용각이 먼저 공을 세워 두각을 낸 것으로 징험되었고,
남소성주 001
각주 001)
오늘날 中國 遼寧省 撫順縣 章黨鄕 高麗營子村에 위치한 鐵背山城 혹은 遼寧省 新賓縣 서북 上夾河鎭 五龍河 부근에 위치한 五龍山城 등이 그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닫기
은 나라의 서북쪽에 있다. 『십육국춘추』 전연록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모용황 12년(345)에 도요장군 모용각을 보내어 고[구]려의 남소성을 공격하여 이기고 수비병을 두고 돌아왔다.” [남소성이] 바로 이 성이다. 『고려기』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남소]성은 잡성주 002
각주 002)
일반적으로 ‘新城’의 오기로 본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에서도 모두 이를 「新城」으로 교감하였다. 신성은 오늘날 中國 遼寧省 撫順市 高爾山城으로 비정되고 있다.
닫기
의 북쪽 70리에 있는 산 위에 있다.”
 
• 참고
『삼국사기』 권18 고구려본기6 고국원왕 十五年 冬十月 燕王皝使慕容恪來攻 拔南蘇 置戍而還

  • 각주 001)
    오늘날 中國 遼寧省 撫順縣 章黨鄕 高麗營子村에 위치한 鐵背山城 혹은 遼寧省 新賓縣 서북 上夾河鎭 五龍河 부근에 위치한 五龍山城 등이 그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일반적으로 ‘新城’의 오기로 본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에서도 모두 이를 「新城」으로 교감하였다. 신성은 오늘날 中國 遼寧省 撫順市 高爾山城으로 비정되고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소[성]에는 수자리를 두어 경보를 발하게 했으니, [모]용각이 먼저 공을 세워 두각을 낸 것으로 징험되었고, 자료번호 : hw.k_0002_006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