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점제[현]을 받아들여 읍락을 다스렸다.

점제[현]을 받아들여 읍락을 다스렸다.
『한서』 지리지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낙랑군은 무제 원봉 3년(기원전 108)에 설치되었다. [왕]망이 낙선[군]이라 하고, 유주에 속하게 했다. [응]소의 주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조선국은 [주의]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던 일로부터 비롯하였]다.’ 남한·패수·함자·점제·수성·증지·대방·사망·해명·열구·장잠·둔유·소명·누방·제해·혼미·탄열·동이·불이·잠태·화려·사두매·전막·부조 등 25현이 있으며 치소는 조선현에 두었다.”
 
• 참고
『漢書』 卷28 地理志下 樂浪郡 “樂浪郡 武帝元封三年開 莽曰樂鮮 屬幽州 〈應劭曰 故朝鮮國也 師古曰 樂音洛 浪音狼〉 戶六萬二千八百一十二 口四十萬六千七百四十八 有雲鄣 縣二十五 朝鮮 〈應劭曰 武王封箕子於朝鮮〉 䛁邯 〈孟康曰 䛁音男 師古曰 䛁音乃甘反 邯音酣〉 浿水 水西至增地入海 莽曰樂鮮亭 〈師古曰 浿音普大反〉 含資 帶水西至帶方入海 黏蟬 〈服虔曰 蟬音提〉 遂成 增地 莽曰增土 帶方 駟望 海冥 莽曰海桓 列口長岑 屯有 昭明 南部都尉治 鏤方 提奚 渾彌 〈師古曰 渾音下昆反〉 呑列 分黎山 列水所出 西至黏蟬入海 行八百二十里 東暆 〈應劭曰 音移〉 不而 東部都尉治 蠶台 〈師古曰 台音胎〉 華麗 邪頭昧 〈孟康曰 昧音妹〉 前莫 夫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점제[현]을 받아들여 읍락을 다스렸다. 자료번호 : hw.k_0002_006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