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신령한 하백이 널리 은택을 베풀었고, 햇빛을 비추어 아이를 잉태했으며, 엎드린 자라가 상서로움을 널리 알려, [흘승]골성에 이르러서 나라를 열었다.

신령한 하백이 널리 은택을 베풀었고, 햇빛을 비추어 아이를 잉태했으며, 엎드린 자라가 상서로움을 널리 알려, [흘승]골성에 이르러서 나라를 열었다.
위수의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고구려는 부여에서 나왔다. 스스로 선조가 주몽이라고 했다. [주몽의] 어머니는 하백의 딸이다. 부여왕이 방안에 가두었는데, 햇빛이 비추어서 몸을 돌려 피했지만 햇살이 다시 [그녀를] 쫓아왔다. 이윽고 임신해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닷 되만 했다. 부여왕이 이(알)를 버려서 개의 먹이로 주었지만 개가 먹지 않았고, 알을 버려서 돼지에게 주었지만 돼지 또한 먹지 않았으며, 알을 도로에 버렸으나 소와 말이 이를 피했고, 다시 들판에 버렸는데 새가 깃털로 알을 감쌌다. 부여왕이 이 알을 깨트리고자 했지만 깨트릴 수 없었으니, 마침내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가 물건으로 알을 감싸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사내[아이] 하나가 껍질을 깨고 나왔다. 그가 장성하자 이름하여 주몽이라고 했다. 그 속언에 주몽은 활을 잘 쏜다는 뜻이다. 부여국인은 주몽이 사람의 소생이 아니어서 장차 다른 뜻을 품을 것이라고 여기고 그를 제거하기를 청했다. 왕은 허락하지 않고 그에게 말을 기르도록 명했다. 주몽은 사사로이 시험하여 좋은 [말]과 안 좋은 [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날랜 말은 먹이를 줄여 야위도록 하고, 둔한 말은 잘 먹여서 살찌웠다. 부여왕이 살찐 말은 자신이 타고 야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이후 들로 사냥 나갔는데, 주몽은 활을 잘 쏘므로 하나의 화살로 제한했다. 주몽은 하나의 화살을 가졌을 뿐이었지만, 죽인 짐승이 상당히 많았다. 부여의 신료는 다시 그를 죽이고자 모의했는데, [주몽의] 어머니가 몰래 알고서 주몽에게 알려주었다. 주몽은 오인·오위 등 두 사람주 001
각주 001)
『위서』 권100, 열전 88, 고구려조에서는 오인·오위 두 사람이 주몽을 수행했다고 했지만, 『북사』 권94, 「열전」 82, 고구려조에서는 이를 ‘焉違 등 2인’으로 적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사절요』 및 「동명왕편」(『동국이상국집』 3 고율시)에서는 烏伊·摩離·陜父 세 사람으로 전한다.
닫기
과 함께 부여를 버리고 동남쪽으로 달아났다. 중도에 큰 강을 만났는데 건너고자 했지만 다리가 없었다. 부여인의 추격이 매우 다급해지자 주몽이 강에 고했다. ‘나는 해의 아들이자 하백의 외손이다. 지금 도망치는데 추격병이 다가왔으니 어찌해야 [강을] 건널 수 있겠는가?’ 그러자 물고기와 자라가 모두 떠올라서 그것으로 다리가 만들어져 주몽이 건널 수 있었고,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져서 추격 기병은 건널 수 없었다. 주몽이 보술수주 002
각주 002)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1, 동명성왕 즉위년 기사에서는 주몽이 이 세 사람을 만난 곳이 毛屯谷이라 전한다.
닫기
에 이르러 세 사람주 003
각주 003)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1, 동명성왕 즉위년 기사에 따르면 이들 세 사람의 이름은 再思·武骨·默居라고 하며, 주몽은 이들에게 각각 克氏, 仲室氏, 少室氏의 성을 하사했다고 전한다.
닫기
을 만났는데, 그 중의 한 사람은 마의를 입고 있었고, 한 사람은 세의를 입고 있었으며, 한 사람은 수조의를 입고 있었다. 주몽과 함께 홀승골성주 004
각주 004)
대체로 지금의 中國 遼寧省 本溪市 桓仁縣 五女山城으로 비정한다.
닫기
에 이르러 마침내 [그곳에] 거주했다.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고 하고, 이로써 씨(氏)를 삼았다.”

  • 각주 001)
    『위서』 권100, 열전 88, 고구려조에서는 오인·오위 두 사람이 주몽을 수행했다고 했지만, 『북사』 권94, 「열전」 82, 고구려조에서는 이를 ‘焉違 등 2인’으로 적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사절요』 및 「동명왕편」(『동국이상국집』 3 고율시)에서는 烏伊·摩離·陜父 세 사람으로 전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1, 동명성왕 즉위년 기사에서는 주몽이 이 세 사람을 만난 곳이 毛屯谷이라 전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1, 동명성왕 즉위년 기사에 따르면 이들 세 사람의 이름은 再思·武骨·默居라고 하며, 주몽은 이들에게 각각 克氏, 仲室氏, 少室氏의 성을 하사했다고 전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대체로 지금의 中國 遼寧省 本溪市 桓仁縣 五女山城으로 비정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령한 하백이 널리 은택을 베풀었고, 햇빛을 비추어 아이를 잉태했으며, 엎드린 자라가 상서로움을 널리 알려, [흘승]골성에 이르러서 나라를 열었다. 자료번호 : hw.k_0002_006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