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준계[산]에 오르려하니, 귀부한 정성이 진실로 드러났다.

준계[산]에 오르려하니, 귀부한 정성이 진실로 드러났다.
『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한은 이사장군주 001
각주 001)
李廣利를 가리킨다. 貳師는 본래 대완의 성의 이름이었는데, 이광리가 이곳을 정벌하고 한혈마를 확보하였다. 이에 이광리를 貳師將軍에 임명하였다고 한다.
닫기
에게 서쪽으로 대완을 정벌하게 했으며, 인우장군주 002
각주 002)
公孫敖이다. 『한서』 무제기에 因杅는 흉노의 지명이라는 주석이 있다.
닫기
에게 수항성주 003
각주 003)
수항성은 이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적의 투항을 받기 위해 축조한 성이다. 한대에는 지금의 내몽고자치구 우라터기(烏拉特旗) 북쪽에 그 유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닫기
을 축조하게 했다. 그[해]주 004
각주 004)
漢武帝 太初 원년(기원전 104)의 일이다.
닫기
겨울, 흉노[의 땅]에 큰 비와 눈이 내려 가축들 가운데 굶어 죽거나 얼어 죽은 것이 많았다. 아선우주 005
각주 005)
兒單于는 오유선우의 아들인 烏師廬單于를 지칭한다. 아선우는 어린 시절에 즉위한 그를 가리키는 다른 표현 중 하나다. 기원전 105년~102년까지 재위하였다.
닫기
는 어린 나이에 새로이 즉위하였는데, 도륙하는 것을 좋아하여 나라 안이 불안정할 때가 많았다. 좌대도위가 선우를 살해하고자 하여 사람을 보내 은밀히 한에 다음과 같이 고했다. ‘제가 선우를 살해하고 한에 항복하고자 하는데 한은 멀리 있으니, 한[조정]이 바로 병사를 보내 저와 가까워지면 제가 즉시 [계획을] 시행하겠습니다.’ 앞서 한[조정]이 이 말을 듣고 일부러 수항성을 쌓았는데, [한의 황제는] 그래도 멀다고 여겼다. 이듬해 봄, 한[황제]는 착야후 파노에게 2만 기를 거느리고 삭방[군] 북쪽 2천여 리로 나아가 준계산주 006
각주 006)
浚稽山은 몽골 남단에 있는 고비알타이 산맥 중간쯤에 있는 산이다. 사마정 『索隱』에 인용된 응소의 주석(‘무위현 북쪽에 있다’)이 남아 있어 대략적인 위치의 추정이 가능하다.
닫기
에 이르렀다가 돌아올 것을 기약하였다.”
 
• 참고
『漢書』 卷94上 匈奴 是歲 漢使貳師將軍西伐大宛 而令因杅將軍築受降城 其冬 匈奴大雨雪 畜多飢寒死 而單于年少 好殺伐 國中多不安 左大都尉欲殺單于 使人間告漢曰 我欲殺單于降漢 漢遠 漢卽來兵近我 我卽發初漢聞此言 故築受降城 猶以爲遠 其明年春 漢使浞野侯破奴將二萬騎出朔方北二千餘里 期至浚稽山而還

  • 각주 001)
    李廣利를 가리킨다. 貳師는 본래 대완의 성의 이름이었는데, 이광리가 이곳을 정벌하고 한혈마를 확보하였다. 이에 이광리를 貳師將軍에 임명하였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公孫敖이다. 『한서』 무제기에 因杅는 흉노의 지명이라는 주석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수항성은 이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적의 투항을 받기 위해 축조한 성이다. 한대에는 지금의 내몽고자치구 우라터기(烏拉特旗) 북쪽에 그 유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漢武帝 太初 원년(기원전 104)의 일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兒單于는 오유선우의 아들인 烏師廬單于를 지칭한다. 아선우는 어린 시절에 즉위한 그를 가리키는 다른 표현 중 하나다. 기원전 105년~102년까지 재위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浚稽山은 몽골 남단에 있는 고비알타이 산맥 중간쯤에 있는 산이다. 사마정 『索隱』에 인용된 응소의 주석(‘무위현 북쪽에 있다’)이 남아 있어 대략적인 위치의 추정이 가능하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준계[산]에 오르려하니, 귀부한 정성이 진실로 드러났다. 자료번호 : hw.k_0002_0010_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