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한에서는 흉노라고 일컬었으니, 평성에서 일곱 번의 달무리를 드러냈다.

한에서는 흉노라고 일컬었으니, 평성에서 일곱 번의 달무리를 드러냈다.
『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흉노는 그 선조가 하후씨의 먼 후예로 순유라고 불린다. 도당씨주 001
각주 001)
陶唐氏는 오제의 하나인 堯를 가리킨다(『사기』 권1 「오제본기」 참조).
닫기
와 유우씨주 002
각주 002)
有虞氏는 오제의 마지막인 舜을 가리킨다(『사기』 권1 「오제본기」 참조).
닫기
이전에는 산융·험윤·훈육 등이 북쪽 변경에 살면서 풀을 따라 가축을 기르며 옮겨 다녔다.” 『사기』 천관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묘는 모두(髦頭)라고 하는데 오랑캐의 별이다.” 고조가 평성에서 포위당했을 때 달무리가 나란하였다가 마치기를 일곱 번 거듭하였는데, 이때 나온 군사들이 7일 동안 먹지 못했다.
 
• 참고
『漢書』 卷94上 匈奴 匈奴 其先夏后氏之苗裔 曰淳維 唐虞以上有山戎獫允薰粥 居于北邊 隨草畜牧而轉移其畜之所多則馬牛羊 其奇畜則橐佗驢驘駃騠騊駼驒奚
『史記』 卷27 天官書 第5 昴曰髦頭 胡星也 爲白衣會 畢曰罕車 爲邊兵 主弋獵 其大星旁小星爲附 … 漢之興五星聚于東井 平城之圍 月暈 參畢七重
『漢書』 卷94下 匈奴 會漢初興 以高祖之威靈 三十萬衆困於平城 士或七日不食

  • 각주 001)
    陶唐氏는 오제의 하나인 堯를 가리킨다(『사기』 권1 「오제본기」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2)
    有虞氏는 오제의 마지막인 舜을 가리킨다(『사기』 권1 「오제본기」 참조).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에서는 흉노라고 일컬었으니, 평성에서 일곱 번의 달무리를 드러냈다. 자료번호 : hw.k_0002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