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池沒部 飡和 池没部 飡和於元▼{曷+斤}之年

신출자池沒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沒」. 아래의 용례를 통해 「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部 飡和 신출자池没部 飡和於元▼{曷+斤}주 002
각주 002)
죽내본 「▼{曷+斤}」, 길림본 「鼎」.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曷+斤}」으로 판독. 「▼{曷+斤}」은 「鼎」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曷+斤}신출자

唐 處士王儉墓誌
닫기
之年
後漢書曰 白馬氐주 003
각주 003)
죽내본 「弖」, 길림본 「氐」. 아래의 용례를 통해 「氐」로 판독. 당초본도 「氐」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徐徹墓誌
닫기
者 武帝元鼎六年開 分廣漢西部 合以爲武都郡 土池險阻 有麻田 出名馬牛羊涞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漆」. 아래의 용례를 통해 「涞」로 판독. 「涞」는 「漆」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毛詩傳
닫기
蜜 氐人男贛牴주 005
각주 005)
죽내본 「▼{牜+弖}」, 길림본 「抵」. 자형에 따라 「牴」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置 貪貨死利 居於何池 一名仇地 方百須 四面斗絶 數爲邊冠 冉駹夷者 武帝所開 元鼎六年 以爲汶山部 王地至莭주 006
각주 006)
죽내본 「節」, 길림본 「莭」. 자형에 따라 「莭」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藥師寺大般苦經
닫기
三年 人夷以立郡賦重 帝乃省 幷蜀郡爲北部都尉 其山有六夷七羌九氐 各有部落 其留王侯頗知書 而法俗嚴重 婦人 黨母施 死則燒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燒」. 아래의 용례를 통해 「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摩訶止觀
닫기
其尸 土氣多寒 夏楯水凍也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沒」. 아래의 용례를 통해 「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曷+斤}」, 길림본 「鼎」.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曷+斤}」으로 판독. 「▼{曷+斤}」은 「鼎」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曷+斤}신출자

    唐 處士王儉墓誌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弖」, 길림본 「氐」. 아래의 용례를 통해 「氐」로 판독. 당초본도 「氐」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徐徹墓誌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漆」. 아래의 용례를 통해 「涞」로 판독. 「涞」는 「漆」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毛詩傳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 「▼{牜+弖}」, 길림본 「抵」. 자형에 따라 「牴」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 「節」, 길림본 「莭」. 자형에 따라 「莭」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藥師寺大般苦經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燒」. 아래의 용례를 통해 「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摩訶止觀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img src="https://www.koreanhistory.or.kr/newchar/fontimg/KC00109_16.GIF" />池沒部 飡和 <img src="https://www.koreanhistory.or.kr/newchar/fontimg/KC00109_16.GIF" />池没部 飡和於元▼{曷+斤}之年 자료번호 : hw.d_0002_012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