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十子分曹 竟馳誠於越嶲

十子分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曹 竟馳誠於越嶲주 002
각주 002)
죽내본 「雋」, 길림본「巂」. 아래의 용례를 통해 「嶲」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嶲州邛都丞張君墓誌之銘
닫기
後漢書曰 窂山下有一夫一婦 復生十子女 哀窂夷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夷」. 아래의 용례를 통해 「夷」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九隆兄弟一人皆取以爲妻 後漸相滋長 種人皆刻書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其身 象龍文 衣皆著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著」. 아래의 용례를 통해 「著」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닫기
尾 九隆死 伐〻相繼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繼」. 아래의 용례를 통해 「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乃分置小王 往〻邑居 散在難若 絶㤜주 007
각주 007)
죽내본 「城」, 길림본 「㤜」. 자형에 따라 「㤜」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荒外 山川阻栥 生人以來 未當交通中國 武廿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廿」. 자획의 결실이 있지만 자형에 따라 「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三年 其王賢栗遣兵 擊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擊」. 아래의 용례를 통해 「擊」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前漢·馬王추
닫기
附塞夷鹿茤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茤」. 아래의 용례를 통해 「茤」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人弱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弱」. 아래의 용례를 통해 「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爲所禽주 012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禽」. 아래의 용례를 통해 「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石鼓文音訓碑
닫기
獲 於是震주 013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震」. 아래의 용례를 통해 「震」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雷疾雨주 014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雨」. 아래의 용례를 통해 「雨」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張玄墓誌
닫기
南風飄越 水爲逆주 015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逆」. 아래의 용례를 통해 「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流 翻涌二百餘里 哀窂之衆 溺死者數千人 賢栗復遣其六王 將万餘人攻鹿茤 鹿茤王与주 016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与」. 아래의 용례를 통해 「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隴西郡夫人李氏墓誌銘
닫기
戰 殺其六王 哀窂耆老共주 017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共」.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 佛說彌勒成佛經
닫기
埋六王 夜獸復出其尸而食之 餘衆驚怖引去賢栗乃惶恐주 018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恐」. 아래의 용례를 통해 「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謂其耆老曰 我曹之寒 自古有之 今攻鹿茤 輙被天誅 中國其有聖帝乎 天祐助之 何其眀也 賢栗遂率種人 詔주 019
각주 019)
죽내본·길림본 「詔」. 아래의 용례를 통해 「詔」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越嶲太守鄭鴻降 求內屬 光武封賢栗等주 020
각주 020)
죽내본·길림본 「等」. 아래의 용례를 통해 「等」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닫기
爲君長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雋」, 길림본「巂」. 아래의 용례를 통해 「嶲」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嶲州邛都丞張君墓誌之銘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夷」. 아래의 용례를 통해 「夷」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著」. 아래의 용례를 통해 「著」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繼」. 아래의 용례를 통해 「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 「城」, 길림본 「㤜」. 자형에 따라 「㤜」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廿」. 자획의 결실이 있지만 자형에 따라 「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擊」. 아래의 용례를 통해 「擊」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前漢·馬王추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茤」. 아래의 용례를 통해 「茤」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弱」. 아래의 용례를 통해 「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禽」. 아래의 용례를 통해 「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石鼓文音訓碑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震」. 아래의 용례를 통해 「震」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雨」. 아래의 용례를 통해 「雨」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張玄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逆」. 아래의 용례를 통해 「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与」. 아래의 용례를 통해 「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隴西郡夫人李氏墓誌銘
     바로가기
  •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共」.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 佛說彌勒成佛經
     바로가기
  •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恐」. 아래의 용례를 통해 「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19)
    죽내본·길림본 「詔」. 아래의 용례를 통해 「詔」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20)
    죽내본·길림본 「等」. 아래의 용례를 통해 「等」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十子分曹 竟馳誠於越嶲 자료번호 : hw.d_0002_01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