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佩刀礪而見等威 金羽以明貴賤

佩刀礪而見等威 金羽以明貴賤
魏牧後魏書東夷傳曰 高驪 頭著折風 其形如弁 傍插주 001
각주 001)
죽내본 「棰」, 길림본 「捶」. 「棰」 혹은 「捶」로 판독하기도 하나, 자형상으로 보아 「插」으로 판독해도 무리가 없다.
신출자

원문
닫기
鳥羽 貴賤有差주 002
각주 002)
죽내본 「差」, 길림본 「差」. 아래의 용례에 따라 「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廣碑別字』 引 魏張黑女墓誌
닫기
立則反拱 蕭주 003
각주 003)
죽내본 「蕭」, 길림본 「蕭」. 아래의 용례에 따라 「蕭」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漢隸字源』 引 梁相費汎碑
신출자

『碑別字新編』 引 漢武班碑
닫기
子顯주 004
각주 004)
죽내본 「顯」, 길림본 「顯」. 아래의 용례에 따라 「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廣碑別字』 引 唐寧州刺史袁彥進墓誌
신출자

『中文大辭典』 頁部
닫기
齊書신출자 주 005
각주 005)
죽내본 「신출자」, 길림본 「峸」. 자형상으로 보아 「신출자」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夷傳曰 高驪俗服窮袴 冠析주 006
각주 006)
죽내본 「折」, 길림본 「析」. 자형상으로 보아 「析」이 분명하다.
신출자

원문
닫기
風一 謂之情 知讀五經 使人在亰師주 007
각주 007)
죽내본 「師」, 길림본 「師」. 아래의 용례에 따라 「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孔彪碑
닫기
中書郞王融주 008
각주 008)
죽내본 「融」, 길림본 「融」. 아래의 용례에 따라 「融」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歷代書法字彙』 虫部
닫기
주 009
각주 009)
죽내본 「戲」, 길림본 「戯」. 자형에 따라 「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干祿字書』 去聲
닫기
曰 服之不衷주 010
각주 010)
죽내본 「喪」, 길림본 「衷」. 아래의 용례에 따라 「衷」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隋門下坊錄事張相墓誌
닫기
身之灾也 頭上定주 011
각주 011)
죽내본 「定」, 길림본 「定」. 아래의 용례에 따라 「定」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干祿字書』 去聲
닫기
是何物 答주 012
각주 012)
죽내본 「答」, 길림본 「答」. 아래의 용례에 따라 「答」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楊君石門頌
닫기
曰 此卽古弁之遺象也 其俗拜曳一脚 受令跪 必주 013
각주 013)
죽내본 「必」, 길림본 「必」. 자형에 따라 「必」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唐李公夫人劉氏墓誌
닫기
走 以爲恭 梁주 014
각주 014)
죽내본 「梁」, 길림본 「梁」.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齊靜明造象記
닫기
元帝軄貢圖云 高驪 婦人衣白 而男子衣結錦 鈴以金銀 貴者冠情 而後以金銀爲鹿耳 加之幘주 015
각주 015)
죽내본 「幘」, 길림본 「幘」. 좌변의 형태가 ‘巾’ 보다는 ‘忄’에 가까우나 우변의 형태가 ‘責’이 분명하여 「幘」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上 賤者冠折風 穿주 016
각주 016)
죽내본 「穿」, 길림본 「穿」. 자형에 따라 「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耳以金鐶주 017
각주 017)
죽내본 「鐶」, 길림본 「鐶」. 아래의 용례에 따라 「鐶」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龍龕手鑑』 金部
닫기
上衣白衫주 018
각주 018)
죽내본 「衫」, 길림본 「衫」. 앞서 ‘ (形)’과 마찬가지로 우변의 ‘彡’을 ‘ ’과 같이 쓰고 있다. 이에 자형에 따라 「衫」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下曰長袴 要有銀帶 左佩礪 而右佩五子刀 足履豆禮鞜주 019
각주 019)
죽내본 「鞜」, 길림본 「鞜」. ‘鞜’의 좌변을 ‘革’ 대신 ‘韋’로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죽내본과 길림본의 판독 및 문맥을 고려할 때, 「鞜」으로 판독함이 타당하다.
신출자

원문
닫기
高驪記云 其人亦造錦 紫地纈文者爲上 次有五色錦 次有雲주 020
각주 020)
죽내본 「雲」, 길림본 「雲」. 아래의 용례에 따라 「雲」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元以來俗字譜』 雨部 引 通俗小說
닫기
布錦 又造白疊布 靑布而尤주 021
각주 021)
죽내본 「尤」, 길림본 「尤」.
신출자

원문
신출자

『碑別字新編』 引 魏李璧墓誌
닫기
佳 又造鄣주 022
각주 022)
죽내본 「鄣」, 길림본 「鄣」. 아래의 용례에 따라 「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衡方碑
닫기
日 華言椄주 023
각주 023)
죽내본 「接」, 길림본 「椄」. 자형으로 보아 「椄」에 가깝다. 「接」으로 읽는 의견도 있는데, 「接」의 이체자로 좌변에 ‘扌’변 대신 ‘木’변을 쓰는 사례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형에 따라 「椄」으로 판독한다.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隋騰王子楊厲墓誌
닫기
주 024
각주 024)
죽내본 「籬」, 길림본 「籬」. 자형에 따라 「籬」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竹部
닫기
其毛卽靺鞨猪髮주 025
각주 025)
죽내본 「髮」, 길림본 「髮」. 아래의 용례에 따라 「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字彙』 長部
닫기

  • 각주 001)
    죽내본 「棰」, 길림본 「捶」. 「棰」 혹은 「捶」로 판독하기도 하나, 자형상으로 보아 「插」으로 판독해도 무리가 없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差」, 길림본 「差」. 아래의 용례에 따라 「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廣碑別字』 引 魏張黑女墓誌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蕭」, 길림본 「蕭」. 아래의 용례에 따라 「蕭」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漢隸字源』 引 梁相費汎碑
    신출자

    『碑別字新編』 引 漢武班碑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 「顯」, 길림본 「顯」. 아래의 용례에 따라 「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廣碑別字』 引 唐寧州刺史袁彥進墓誌
    신출자

    『中文大辭典』 頁部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 「신출자」, 길림본 「峸」. 자형상으로 보아 「신출자」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 「折」, 길림본 「析」. 자형상으로 보아 「析」이 분명하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 「師」, 길림본 「師」. 아래의 용례에 따라 「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孔彪碑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 「融」, 길림본 「融」. 아래의 용례에 따라 「融」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歷代書法字彙』 虫部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 「戲」, 길림본 「戯」. 자형에 따라 「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干祿字書』 去聲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 「喪」, 길림본 「衷」. 아래의 용례에 따라 「衷」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隋門下坊錄事張相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 「定」, 길림본 「定」. 아래의 용례에 따라 「定」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干祿字書』 去聲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答」, 길림본 「答」. 아래의 용례에 따라 「答」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楊君石門頌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 「必」, 길림본 「必」. 자형에 따라 「必」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唐李公夫人劉氏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 「梁」, 길림본 「梁」.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齊靜明造象記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 「幘」, 길림본 「幘」. 좌변의 형태가 ‘巾’ 보다는 ‘忄’에 가까우나 우변의 형태가 ‘責’이 분명하여 「幘」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 「穿」, 길림본 「穿」. 자형에 따라 「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7)
    죽내본 「鐶」, 길림본 「鐶」. 아래의 용례에 따라 「鐶」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龍龕手鑑』 金部
     바로가기
  • 각주 018)
    죽내본 「衫」, 길림본 「衫」. 앞서 ‘ (形)’과 마찬가지로 우변의 ‘彡’을 ‘ ’과 같이 쓰고 있다. 이에 자형에 따라 「衫」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9)
    죽내본 「鞜」, 길림본 「鞜」. ‘鞜’의 좌변을 ‘革’ 대신 ‘韋’로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죽내본과 길림본의 판독 및 문맥을 고려할 때, 「鞜」으로 판독함이 타당하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20)
    죽내본 「雲」, 길림본 「雲」. 아래의 용례에 따라 「雲」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元以來俗字譜』 雨部 引 通俗小說
     바로가기
  • 각주 021)
    죽내본 「尤」, 길림본 「尤」.
    신출자

    원문
    신출자

    『碑別字新編』 引 魏李璧墓誌
     바로가기
  • 각주 022)
    죽내본 「鄣」, 길림본 「鄣」. 아래의 용례에 따라 「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衡方碑
     바로가기
  • 각주 023)
    죽내본 「接」, 길림본 「椄」. 자형으로 보아 「椄」에 가깝다. 「接」으로 읽는 의견도 있는데, 「接」의 이체자로 좌변에 ‘扌’변 대신 ‘木’변을 쓰는 사례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형에 따라 「椄」으로 판독한다.
    신출자

    원문
    신출자

    『偏類碑別字』 引 隋騰王子楊厲墓誌
     바로가기
  • 각주 024)
    죽내본 「籬」, 길림본 「籬」. 자형에 따라 「籬」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竹部
     바로가기
  • 각주 025)
    죽내본 「髮」, 길림본 「髮」. 아래의 용례에 따라 「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字彙』 長部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佩刀礪而見等威 金羽以明貴賤 자료번호 : hw.d_0002_006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