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嚴尤五難 得失之機斯在

嚴尤五難 得失之機斯在
漢書曰 王莽簒주 001
각주 001)
죽내본 「墓」, 길림본 「簒」. 아래의 용례를 통해 「簒」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干祿字書墓
신출자

元 馬璁墓志
닫기
位 彂卅萬 賷三百日粮 周時一道竝出 窮追匈奴 將嚴尤諫曰 今天下遭陽九之阨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阨」. 이체자를 참조하여 「阨」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干祿字書
닫기
比年飢饉 西北邊尤甚 彂卅万衆 貝주 003
각주 003)
죽내본 「具」, 길림본 「貝」. 자형에 따라 「貝」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三百日糧 東據海代 南取江准 然後乃俻 計其道理 一年尚未集合 兵先至者 取居暴露 師老滅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滅」. 아래의 용례를 통해 「滅」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歐陽詢
닫기
弊 勢不可用 此一難也 邊旣空虛 不能奉軍糧 內調郡國 不相及属 此二難也 計一人三百日食 用糒十八斛 非牛力不勝 牛又當自齎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齎」. 아래의 용례를 통해 「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徐浩 不空和尙碑
신출자

『翰苑』
닫기
食 加斛重矣 胡地沙鹵多之水草 以往事揆之 軍出朱滿百日 牛必物故且盡 餘糧粮주 006
각주 006)
죽내본 판독 누락, 길림본 「粮粮」. 자형에 따라 「糧粮」으로 판독. 한편 「糧」의 오른편에 ‘〻’ 표기가 확인되는데, 이는 서자가 필사하는 과정에서 잘못 쓴 글자를 표시한 것으로 간주되며 동일한 사례가 흉노전 24번째 정문의 주문에서도 확인된다.
신출자

원문
닫기
尚多 人不能負 此三難也 胡地秋冬甚寒 春夏甚風 多賷𦓞 주 007
각주 007)
죽내본 「𦓞」, 길림본 「鬴」. 자형에 따라 「𦓞」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鍑薪炭 重不可勝 食糒飮水 以歷四時 師有疾病之憂 是胡前代〻胡 不過百日 非不欲分 勢不能 此四難也 輤重自随 則輕銳者小 不得疾行 虜徐遁逃走 不能及 幸而逄虜 又累▼{車+昔}주 008
각주 008)
죽내본 「▼{車+昔}」, 길림본 「輤」. 자형에 따라 「▼{車+昔}」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重 如過주 009
각주 009)
죽내본 「過」, 길림본 「遇」. 자형에 따라 「過」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險阻 銜尾相随 虜要遮前後 危殆不測 此五難也 大用人力 功不可必立 臣伏受주 010
각주 010)
죽내본 「受」, 길림본 누락. 아래의 용례를 통해 「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甯贙碑
신출자

唐 褚遂良
닫기
之 今既彂兵 冝縱先至者 今臣尤等 栥入霆擊 且以創艾胡虜 莽不聴尤言 天下駱動也

  • 각주 001)
    죽내본 「墓」, 길림본 「簒」. 아래의 용례를 통해 「簒」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干祿字書墓
    신출자

    元 馬璁墓志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阨」. 이체자를 참조하여 「阨」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干祿字書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具」, 길림본 「貝」. 자형에 따라 「貝」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滅」. 아래의 용례를 통해 「滅」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歐陽詢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齎」. 아래의 용례를 통해 「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徐浩 不空和尙碑
    신출자

    『翰苑』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 판독 누락, 길림본 「粮粮」. 자형에 따라 「糧粮」으로 판독. 한편 「糧」의 오른편에 ‘〻’ 표기가 확인되는데, 이는 서자가 필사하는 과정에서 잘못 쓴 글자를 표시한 것으로 간주되며 동일한 사례가 흉노전 24번째 정문의 주문에서도 확인된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 「𦓞」, 길림본 「鬴」. 자형에 따라 「𦓞」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 「▼{車+昔}」, 길림본 「輤」. 자형에 따라 「▼{車+昔}」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 「過」, 길림본 「遇」. 자형에 따라 「過」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 「受」, 길림본 누락. 아래의 용례를 통해 「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甯贙碑
    신출자

    唐 褚遂良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嚴尤五難 得失之機斯在 자료번호 : hw.d_0002_001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