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성릉자고성남성

李城楞子古城南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요금
  • 원소장처
    吉林省 梨樹縣 東河鎭 王平房村 城楞子屯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575m, 남: 180m, 북: 148m, 동: 173m, 서: 174m
입지
성에서 북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는 원래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동요하(東遼河)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시내가 있는데 현재는 말라버렸다.
유적개관
남성(南城)의 평면은 대체로 불규칙한 사변형(四邊形)으로 방향은 남쪽에서 동쪽으로 3도 치우쳤다. 남성(南城) 성벽의 서쪽, 남쪽, 북쪽 3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곧으며, 동벽은 하안방향을 따라서 축성하였기 때문에, 굴곡이 비교적 커서 S자 형태를 이룬다. 성벽에는 4개의 각루(角樓)가 축조되어 있는데, 현재는 서남쪽, 서북쪽에 두 개의 각루(角樓)만이 남아있다. 북벽의 중간에 낮은 와지(洼地)가 있는데 성문터로 생각되며, 성벽의 주위에서는 해자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유물개관
* 기와편은 청회색(靑灰色)과 담황색(淡黃色)과 황갈색(黃褐色) 3종류가 있고, 안쪽에 베 무늬가 있다. 자기는 치백유자(齒白釉瓷)와 항태기(缸胎器)가 대부분이며, 사발(완(碗)) 소반(반(盤)) 등의 유형이 많다. 항아리, 병(호(壺)), 단지(관(罐)) 이외에 또한 얇은 태의 사발(완(碗)), 접시(설(碟))등이 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길림성(吉林省) 이수현(梨樹縣) 동하진(東河鎭) 왕평방촌(王平房村) 성릉자둔(城楞子屯)에 있는데, 북성(北城)과 마찬가지로 동요하(東遼河) 왼쪽 강가의 2급 대지에 축조되어 있다. 성에서 북쪽으로 50m 지점에는 원래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동요하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시내가 있는데, 현재는 말라버렸다.
성이 위치한 곳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평면은 대체로 불규칙한 사변형(四邊形)으로 방향은 남쪽에서 동쪽으로 3도 치우쳤다. 이미 경작지로 개간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단지 지면에서 약 0.5m 정도 융기된 낮고 작은 성벽만을 볼 수 있다. 성벽의 서쪽, 남쪽, 북쪽 3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곧으며, 서쪽 성벽은 174m, 남쪽 성벽은 180m, 북쪽 성벽은 148m, 동쪽 성벽은 173m여서, 전체 둘레는 575m이다. 성벽에는 4개의 각루(角樓)가 축조되어 있는데, 현재는 서남쪽, 서북쪽에 두 개의 각루만이 남아있다. 북벽의 중간에 낮은 웅덩이가 있는데 성문터로 생각되며, 성벽의 주위에서 해자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남성(南城)과 북성(北城)에서 출토된 절대 다수의 유물은 요(遼)·금(金) 시기(907∼1234)의 문화유물과 기본적으로 같다. 남성은 지리적 위치, 형식구조와 규모로 보면, 북성에 딸린 성이다.
역사적으로 이수현(梨樹縣) 경내는 일찍이 발해국 부여부의 관할에 있었고, 요·금 시기에도 한주의 관할이 되었다. 성릉자(城楞子)의 두 고성은 발해시기에 축조하여, 두 성이 의각을 이루며 요하(遼河) 변을 방어하고 부두를 설치하여 양안을 왕래하는 배들을 이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성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은 험준한 곳에 있기 때문에 요(遼)가 발해를 멸망시킨 이후 요·금 두 왕조에서 계속 사용하였을 것이다. 현재까지 성릉자 고성은 이수현 북반부에서 유일하게 발견한 발해 유적이다.
성 안은 비록 일찍이 농경지로 개간되었으나, 지면에서 약간의 건축 재료와 도자기조각 등의 유물을 볼 수 있다. 기와조각은 청회색, 옅은 황색, 황갈색 3종류가 있고, 안쪽에 베무늬가 있다. 자기는 치아 색깔의 유약을 바른 것과 항아리용 태토(胎土)로 빚은 그릇이 대부분이며, 대접, 소반 등의 유형이 많다. 항아리, 병, 단지 이외에 또한 얇은 태토의 대접, 접시 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릉자고성남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30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