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발해 이불병좌상

東京國立博物館 所藏 渤海 二佛竝坐像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도쿄(東京)의 우에노(上野) 공원
  • 시대
    발해
  • 유형
    불상
유적개관
도쿄[東京]의 우에노[上野]공원에 있다. 1872년 유시마[湯島]에 있는 이전에 유교사당이었던 타이세이덴 홀에서 문부성 주최로 첫 전시회를 개최한 것이 그 시초로, 1882년 영국 건축가 칸돌의 설계로 현재의 위치에 새 박물관이 건립되었다. 1908년 가타야마 도쿠마[片山東態]가 설계한, 현재 고고유품(考古遺品) 전시관인 효게이관[表慶館]을 준공하고 또 1938년에 현재의 본관이 있는 신관이 건립되었다. 그 동안 1889∼1900년까지 도쿄제국박물관으로, 1900∼1947년까지 도쿄제실박물관으로 바뀌었다가 1947년에 국립박물관으로 개칭하였다. 이어서 1950년 도쿄국립박물관으로 다시 명칭을 바꾼 후 문화청이 관할하고 있다. 주로 일본 및 아시아 여러 국가의 회화·조각·서예·건축모형·도기·칠기·고고유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예술품들을 소장하고 있는데, 총 8만 8,000여 점에 이르며, 그 중 국보 87점, 중요문화재 557점, 그 밖에 사찰이나 개인이 소장한 대여 전시품 2,600여 점이 있다. 이들 소장품의 보관과 전시 외에도 진열품 해설·강연·강좌 등을 개최하고, 월간 홍보책자《박물관 뉴스》《뮤지엄》등을 발행하며, 영화·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지방순회전 등을 열고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발해 관련 자료로는 이불병좌상이 소장되어 있다.
유물개관
발해 이불병좌상 소장
참고문헌
윤재운, 일본소재 발해 유적유물의 종합적 검토, 한국사학보41, 2010년 11월
해설
도쿄국립박물관은 일본 도쿄[東京]의 우에노[上野] 공원에 위치한다. 도쿄국립박물관은 1872년에 유시마[湯島]의 예전 유교사당이었던 타이세이덴 홀에서 문부성 주최로 첫 전시회를 개최하였던 것이 시초이다. 1882년에 영국의 건축가인 칸돌의 설계로 현재의 위치에 새 박물관이 건립되었다. 1908년에 가타야마 도쿠마[片山東態]가 설계한, 현재의 고고유품(考古遺品) 전시관인 효게이관[表慶館]을 준공하였고, 또 1938년에 현재의 본관이 있는 신관을 건립하였다. 이후에 1889년부터 1900년까지는 도쿄제국박물관으로, 1900년에서 1947년까지는 도쿄제실박물관으로 일컬었다가 1947년에 국립박물관으로 개칭하였다. 이어서 1950년에 도쿄국립박물관으로 다시 명칭을 바꾼 후에 일본의 문화청이 관할하고 있다.
도쿄국립박물관에서는 주로 일본 및 아시아 여러 국가의 회화, 조각, 서예, 건축모형, 도기, 칠기, 고고유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예술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도쿄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총 8만 8,000여 점에 이르며, 그 중 국보 87점, 중요문화재 557점, 그 밖에 사찰이나 개인이 소장한 대여 전시품 2,600여 점이 있다. 도쿄국립박물관에서는 소장품의 보관과 전시 외에도 진열품의 해설, 강연, 강좌 등을 개최하고, 월간 홍보책자인 《박물관 뉴스》, 《뮤지엄》 등을 발행하며, 영화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지방순회전 등을 열고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발해 관련 자료로는 이불병좌상(二佛竝坐像)이 소장되어 있다. 이불병좌상은 두 불상이 하나의 대좌를 반으로 나누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불상은 중국에서는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부터 꾸준히 조성되었지만, 한국에서는 발해를 제외하면 전시대를 통관해 보아도 3구 정도 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발해 이불병좌상 자료번호 : isea.d_0003_0020_001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