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석대자산성

石臺子山城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요녕성 심양시 동릉구 석대자촌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1,650m
입지
심양시 동릉구 기반산댐 풍치구에 위치
유적개관
성벽이 1,650m에 달하는 석축산성으로, 절벽으로 이어진 동쪽 구간은 산비탈 바깥쪽에 성벽을 축조하였고, 서북벽과 남북벽은 석축성벽을 내외 협축으로 축조하였다.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연차적으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치가 10개가량 확인되었다. 성벽은 대체로 1.5~2m가량 남아있다. 문지는 3개가 확인되었다. 중국측에서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해서 발굴조사 후 복원하였으나, 현재는 성벽이 무너진 채로 방치되어 있다. 성내에는 방형 저수지 1기가 있으며, 성내부에는 점장대 및 병사들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유물개관
토기, 철기(철촉, 갑주 , 솥) 등
참고문헌
심양시문물지
해설
중국 요녕성 심양시 동북쪽 35km 떨어진 휘산(輝山) 풍치지구 기반산(棋盤山)댐 상류 오른쪽 연안에 위치하는 포곡식 산성이다. 원래 이곳은 동릉구 만당향 석대자촌이 있었는데 댐 건설로 수몰되었다. 석대자산성은 포하(蒲河) 연안의 충적평지와 요동평원과의 접경지대 안쪽에 위치하는데, 서남쪽으로는 심양으로 동남쪽으로는 무순으로 동북쪽으로는 철령 방면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치이다. 산성 서북쪽은 길림합달령산맥 서남쪽 끝에 자리 잡은 휘산의 산봉우리로 이어지는데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대이고, 산성 동·남쪽은 깎아지른 듯 한 절벽과 그 아래로 포하가 흐르고 있다. 기반산댐 건설로 동남쪽이 모두 수몰되었으나 수몰 이전에는 산성의 동·남쪽 지형조건이 ‘우뚝 솟은 돌산’이라는 의미에서 ‘석대자산’ 이라고 불렸다. 포하는 길림합달령산맥 서남쪽의 무순, 심양 경계 지역에서 발원해 서남쪽으로 흘러 요하로 들어간다. 1997년부터 2006까지 연차적으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평면은 불규칙한 장방형(長方形)으로 전체 길이는 약 1.65km이며, 아래쪽 너비는 2-5m, 높이는 1-2m로, 성벽 높이 1m마다 외벽은 6-8cm, 내벽은 1-5cm 정도씩 안쪽으로 들여쌓았다.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편으로 성벽은 전체적으로 정교하게 다듬은 쐐기형 돌을 치밀하고 가지런하게 층층이 쌓아올렸다. 돌로 쌓은 성벽 안쪽 벽체에 잇대어 흙을 층층이 다져서 흙벽을 구축하고 있는데, 서남벽과 서북벽 남쪽 끝은 거의 파괴되었다. 성문은 북서문, 서남문, 남문, 동문 4곳으로 성문 가장자리 아래쪽에 배수시설이 성문과 결합된 형태로 만들어져 있으며, 모두 10개의 치(雉)가 확인되었다. 이 외에 망대와 장방형의 저수지 1곳 등이 확인되었다.
내성은 서남쪽에 위치하는데 길이는 약 290m이다. 성 안 가운데에 ‘점장대(点將臺)’가 돌과 흙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주거지터(방지 房址), 아궁이터(조지 灶址), 구들시설(회갱 灰坑)이 발견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쇠화살촉, 철로 된 갑옷과 투구(철갑주 鐵甲冑), 쇠허리띠장식(철대구 鐵帶扣), 쇠도끼 조각 등 철제품과 도자기와 솥, 시루 등 토기와 기와 조각, 동제 화살촉, 동 장식품, 동제 팔찌 및 비녀 같은 장식품, 돌도끼, 돌화살촉, 뼈조각품(골제품 骨制品), 은제 비녀, 오수전(五銖錢)을 비롯한 동전 등 다양하고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다.
이 산성은 성 내부에서 쇠화살촉과 철갑주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고 하여 임시로 쌓은 군사 성보(城堡)라는 설과 동남쪽의 고이산성이나 북쪽 최진보산성보다 소형 산성임을 감안할 때 호위의 성격을 가진 산성일거라는 설, 군사 성보이면서 포하 연안 일대를 지배하기 위한 거점성일 거라는 설 등으로 그 기능에 대한 여러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그런데 석대자산성은 입지조건상 기본적으로 송요하 대평원에서 포하 연안으로 진입하는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중형산성으로 분류하면서도 성 내부의 경사가 완만하여 주거용 공간이 넓은 편이었으며, 발굴 결과도 주거지 관련 유적이 많이 발견됨으로써 군사 방어뿐만 아니라 지방지배를 위한 거점성으로서의 기능 역시 수행했다고 보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석대자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11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