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상촌주(上村主; 가미노스구리)

상촌주(上村主; 가미노스구리)
 광계련(廣階連; 히로하시노무라지)과 같은 조상이다. 진사왕(陳思王) 식(植)의 후손이다.
 
【주석】
1. 상촌주(上村主)
『일본서기』 지통기(持統紀) 5년(691) 4월조에 “대학박사 상촌주백제(上村主百濟)에게 대세(大稅) 1천 속을 내리고 학업을 권장하였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동 지통 7년(693) 3월조에는 “대학박사 근광위 상촌주백제에게 식봉 30호를 내렸다. 유도(儒道)에 뛰어났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대학박사는 식부성(式部省) 산하의 대학료 소속으로 박사 1인을 두었다. 『속일본기』 경운(慶雲) 원년(704) 2월에는 상촌주백제에게 아도련(阿刀連)의 씨성을 내렸다. 그 밖에 상촌주씨에 대해서는 『속일본기』, 『일본삼대실록』,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 『만엽집』, 『정창원문서』 등에 다수의 인명이 산견되고 있다.
2. 광계련(廣階連)
광계련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광계련」 조(833) 참조.
상촌주씨와 광계련씨의 동조(同祖)관계는 『일본문덕천황실록』 제형(齊衡) 2년(855)8월조에 상촌주궁웅(上村主宮雄)이 광계숙녜(廣階宿禰)로 개성되고,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8년(866) 윤3월조에 상촌주팔조(上村主八釣)가 광계숙녜의 씨성을 받은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3. 진사왕식(陳思王植)
삼국 시대 위 태조인 무제의 아들로, 이름은 조식(曹植, 192~232)이다.
진사왕(陳思王) 식(植)에 대해서는 『신찬성씨록』화천국 신별 「축자사(筑紫史)」 조(774), 우경 제번(상) 「광계련」 조(833)와 「평송련(平松連)」 조(834)에도 진사왕 식의 후손으로 되어 있고, 섭진국 제번의 「상촌주」 조(970)와 「축지사(竺志史)」 조(774)에도 같은 내용이 나온다. 이 외에도 하내국 제번, 화천국 제번에도 산견된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8년(866) 윤3월조에는 상촌주정성(上村主貞成) 등이 광계숙녜의 씨성을 받고, 스스로를 위의 진사왕(陳思王) 조식(曹植)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상촌주(上村主; 가미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