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맺음말

이상으로 1916년과 1917년에 이루어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경과와 내용을 검토했다. 그 결과 1916년에 이루어진 고구려 유적 조사배경과 조사단의 성격, 그리고 조사의 추이와 개별 유적의 조사내용이 분명해졌다고 할 수 있다.
머리말에서도 말했듯이 1916년에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古蹟 및 遺物保存規則)」이 시행되면서 고적조사위원회가 꾸려지고 정식으로 고적조사 5개년 계획이 수립된다. 이를 통해 고구려 유적의 조사형태도 약간의 변화를 보이는데 그것은 세키노 다다시[關野貞] 개인 자격으로 이루어졌던 조사가 공적으로 사전협의를 거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사현장에서의 조사형태는 크게 바뀌지 않았는데, 그것을 방증이라도 하듯 개별 유구별로 총독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서 이루어진 굴착 조사는 많지 않다. 애당초 고적조사 5개년 계획의 초년도 사업목적은 구로이타가 밝히듯이 서북지역에서 한문화(漢文化)의 흔적을 찾는 데에 있었다(黑板 1917). 즉 조선역사의 타율성을 설명하기 위한 물적증거를 고고학적인 활동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던 것이며 고구려 유적 조사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이상 살핀 결과 1916년에 본문 없이 도판만을 묶어서 발간한 『고구려시대의 유적』에 언급된 개별 고구려 유적의 조사과정과 내용, 그리고 발굴조사 현장의 풍경을 비교적 선명하게 복원해 낼 수 있었으며, 나아가 조사에 참가한 조사원의 면면과 개별조사에서의 역할 분담을 충분히 밝혀낼 수 있었다. 당시 세키노조사단에 소속된 조사원들은 세키노를 포함하여 모두가 그림과 사진은 물론 측량과 실측 기능을 몸에 익힌 사람들이었다.
비록 발굴수준 그 자체는 지금의 관점에서 보면 저급하지만 당시 일본 고고학계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의 도면과 도판을 작성해 내었다. 이토록 높은 수준의 도면과 사진을 작성해 낼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경영을 위한 역사적 근거 만들기에 동원된 관학자들의 과한 애국심이 작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평양주변에서 고구려 유적 조사가 한국사라는 관점에서 한국인의 선조인 고구려인과 그들이 창조한 고구려 유적의 발견과 해석이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단지 앞으로 일본사의 한 부분으로 완전히 편입시킬 고구려 유적을 조사한다는 엄격한 동기부여가 발굴조사에 참가한 조사원들을 분발하게 했던 것이다.
이 정리를 통해서 대성산록과 토포리, 호남리에서 이루어진 고구려 유적의 조사과정과 흐름도 비교적 분명해졌다. 또한 순천리의 천왕지신총과 검산고분의 조사내용도 구체적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용암리 고분은 전혀 보고가 없던 것을 새로이 찾아낸 것이어서, 고구려 고분을 새로 발견하여 조사한 것과 같은 성과를 거둔 것이라 자평한다.
1917년에 야쓰이가 조사한 만달산록의 고구려 고분에 대한 해제까지 작성했기 때문에 1935년에 세키노가 사망하면서, 결국 본문이 작성되지 못한 채 미완으로 남아 있던 『고구려시대의 유적』이 드디어 보고서의 형식으로 90년 만에 정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자료번호 : ku.d_0003_003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