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현사(大縣史; 오아가카노후히토)

대현사(大縣史; 오아가카노후히토)
 백제국(百濟國) 사람 화덕(和德)의 후손이다.
 
【주석】
1. 대현사(大縣史)
대현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대현군(大縣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중하내군(中河內郡) 지역이다. 대현사의 옛 성은 화덕사(和德史)이다. 『속일본기』신귀(神龜) 2년(725) 6월 정사조에 화덕사룡마려(和德史龍麻呂) 등 38인에게 대현사(大縣史)의 씨성을 주었다는 기록을 통해 이해에 화덕사씨가 대현사로 개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현사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대화(大化) 2년(646) 3월조에 화덕사(和德史)가 있다. 평성궁 출토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7,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4)에 ‘少初位下大縣史[萬][呂]銭五百文·神龜五年九月廿八日’이 명기되어 있다. 이 목간은 이른바 ‘속로전(續勞錢)’이라고 하는 부찰(付札)이며 근무를 계속하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5백 문의 전을 지불하고 있다. 『속일본기』 신귀(神龜) 2년(725)6월 정사조에는 화덕사룡마려(和德史龍麻呂) 등 38인이 대현사의 씨성을 받고 있어 이 목간은 3년 후에 기록된 것이다.
천평보자(天平寶字) 4년(760) 8월 2일부 「동사사경소이문부성(東寺寫經所移文武省)」(『대일본고문서』14-397)에 건정관(乾政官)의 사생(史生)인 대현도계(大縣道繼) 등이 있다. 한편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2년(768) 7월 신축조에는 대현련백매녀(大縣連伯枚女)와 같이 대현련(大縣連)의 씨성인 인물도 있다.
2. 화덕(和德)
『일본서기사기(日本書紀私記)』홍인사기서(弘仁私記序)에 나오는 제번잡성기(諸蕃雜姓記)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온다. 전변사(田邊史), 상모야공(上毛野公), 지원조신(池原朝臣), 주길조신(住吉朝臣) 등의 조상은 사수미(思須美), 화덕(和德) 2인이다. 대초려천황(大鷦鷯天皇, 仁德) 시대에 백제국에서 왔으며 우리의 조상들이며 귀국장군(貴國將軍)의 상모야공죽(上野公竹)과 합치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나오는 화덕(和德)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현사(大縣史; 오아가카노후히토)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