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5년도 발굴조사

크라스키노발해성

서론

  • 저필자
    김은국, 정석배, E.I. 겔만
2015년도 7월 12일부터 9월 10일까지 대한민국 동북아역사재단과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는 러시아연방 연해주 하산 지구에 위치하는 크라스키노 성에서 공동으로 고고학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도면 1~4). 발굴조사는 성의 북서쪽 부분과 북쪽 부분에 설정한 제44구역, 제47구역(섹터 2와 섹터 6), 그리고 제50구역에서 수행하였다(도면 5, 6).
성의 북서쪽 부분에 설정한 제44구역에서는 2015년도에 서쪽 섹터에서 석축 구조물과 경제 퇴적층이 부분적으로 남아있던 제6건축면에 대해 조사를 마무리하였다.
크라스키노 성의 북쪽 부분에서는 제47구역 섹터 2와 섹터 6에서 발굴조사를 하였는데 이 두 섹터는 남-북 방향으로 난 자갈을 깐 도로 유구가 인접한다. 도로 유구의 위 건축면은 2011년도에, 도로 유구의 제2~4건축면은 2014년도에 각각 조사하였다. 새로운 발굴 기간 동안에는 이와 이웃하는 섹터들에서 주거지들, 경제 유구들, 그리고 기둥 초석이 있는 건축물들 등을 포함하는 제2~4건축면을 발굴하였다.
제47구역의 섹터 4와 섹터 5에서 남서쪽으로는 서-동 방향으로 나있는 도로 유구에 대한 추가 조사와 유적의 평면적 구조 파악을 위해 제50구역을 새로 설정하였다.
발굴조사단은 여러 단계에 걸쳐 거주하였던 성 주민들의 물질적 및 정신적 문화, 발해 주민들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그리고 유적의 상대적 및 절대적 연대 등에 관한 포괄적이고 완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15년도 크라스키노 성 야외 발굴조사 기간의 기본 과제들은 다음과 같다.
 
- 유적 북서쪽 일대에 설정한 제44구역에서 아래 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위해 성의 주거구역을 계속해서 발굴조사한다.
- 유적 북쪽 중간 부분(제47구역, 섹터 2와 섹터 6)에서 남-북 방향으로 난 도로에 인접한 주거유역을 연구하기 위해 그리고 크라스키노 성 존속의 여러 단계에서의 내부 구획을 파악하기 위해 계속해서 발굴조사를 진행한다.
- 유적의 북쪽 중간 부분에 새로이 설정한 제50구역에서 동-서 방향으로 난 자갈을 깐 도로와 그 인접지역을 포함하는 위 건축면을 연구하고 그리고 이 일대 성의 평면 구획을 파악하기 위해 계속해서 발굴조사를 진행한다.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야외조사부는 E.I. 겔만에게 발굴허가서 No. 746을 발급하였다.
발굴조사는 4개 구역에서 총 292m2 면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제44구역(서쪽 섹터) 46m2, 제47구역(섹터 2와 섹터 6) 각각 36m2와 40m2, 제50구역 170m2이다.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과 관련 야외조사 서류들은 모두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정치인류학 센터 및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주 001
각주 001)
러시아 측에서 준비한 이 책의 러시아어본은 학술연구 프로젝트 No. 14-18-01165 〈극동지역 중세 제국의 도시들〉에 대한 지원의 일환으로 러시아 학술재단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닫기
크라스키노 발굴조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블라디보스토크) E.I. 겔만 박사(발굴단장), E.V. 아스따쉔꼬바 박사, Ya.E. 삐스까료바 박사, Yu.E. 보스뜨레초프 박사, V.I. 볼딘 박사, A.L. 이블리예프 박사, E.V. 또로뽀바 도서관장, S.S. 까바친스끼 대학원 박사과정, A.Yu. 사나페예프 조수, 블라디보스토크 국립경제서비스대학교(블라디보스토크) V.A.데류긴 교수
- 동북아역사재단(대한민국, 서울) 김은국 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대한민국, 부여) 정석배 교수, 중국 길림대학교 김은옥 박사과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대한민국, 부여) 김영현 석사과정, 공미르한 학생, 남지혜 학생
- 연해주 정보 프로그램국 직원(“베스찌: 쁘리모리예”, 국립텔레비전라디오채널방송 블라디보스토크) V.S. 찌노브낀
-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극동연방대학교 인문학대학 학부 졸업생 및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 A.Yu. 사나페예브, A.S. 보루루예바, R.A. 그리찌께비치, A.S. 곤차로바, O.A. 깔라체바, E.S. 렌지나, E.S. 자야찌, M.D. 뻰낀, K.V. 리드느이나, N.M. 브라떼가; 종교 및 국제연구대학 학생들: I.B. 보로딘, S.S. 시모노비치
- 운전기사 M.V. 부트, 요리사 V.J. 아줄리스
- 자원자들: P.I. 꼴로미에찌(블라디보스토크 2호 김나지움 역사교사), I.G. 아파나시예프, V.G. 오가이, D.M. 구뜨니끄, S.S. 까바친스끼, D. 도브르이딘
- 네벨스끼 이름 해양기술대학 학생들: M.A. 쉬삘로프, D.V. 빠블리프, R.E. 사부르프, I.T. 자꼬보로뜨느이
- 블라디보스토크 중등학교 및 김나지움 학생들: T.A. 삐스까료바, A. 리쉡스끼, A.S. 됴미나, I.V. 라뜨께비치, S.A. 뽈랴꼬바, E.F. 라슬로바, 아르쬼 시 학생: D.A. 라또프
 
발굴조사에 대한 텍스터 작업은 E.I. 겔만, E.V. 아스따쉔꼬바, Ya.E. 삐스까료바, 김은국, 정석배가 하였고, 텍스터에 대한 교열은 E.I. 겔만, 정석배, 김은국이 하였다. 도면 작성과 사진 촬영은 한국과 러시아 측 발굴단의 학자들이 함께 하였다. 토제 유물의 분석과 정리, 토기 유물 실측은 E.I. 겔만, 발굴현장 캠프에서의 유물 정리 작업은 E.V. 또로뽀바, E.I. 겔만, A.L. 이블리예프, 유물에 대한 사진촬영은 사진작가 L.A. 까라까가 각각 하였다. 유구 실측도면에 대한 컴퓨터 작업은 D.G. 또밀로프와 A.Yu. 사나페예프, 유물 실측 및 유물 실측도면 컴퓨터 작업은 S.V. 리빠또바가 하였다. 자료 정리에는 극동연방대학교 4학년 학생 A.S. 보루루예바가 참여하였다.

  • 각주 001)
    러시아 측에서 준비한 이 책의 러시아어본은 학술연구 프로젝트 No. 14-18-01165 〈극동지역 중세 제국의 도시들〉에 대한 지원의 일환으로 러시아 학술재단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론 자료번호 : kr.d_0013_0010